학술논문
초등교사의 반성적 수업성찰을 위한 수업연구(Lesson Study)의 이해
이용수 829
- 영문명
- Understanding of the Lesson Study for Reflective Teach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욱(Kim Hyunw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7호, 673~69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15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개선하기 위한 기제로서 수업연구(Lesson Study)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업연구의 발생 기원과 전개과정을 고찰하였고, 수업연구(Lesson Study)의 특징 및 적용 절차와 교사의 반성적 수업성찰의 의미와 가치를 논의하였다. 수업연구(Lesson Study)는 근대 일본의 첫 번째 교원양성기관으로서 1873년에 설립된 도쿄사범학교에서 현장수업, 즉 지금의 수업실습을 비평하는 것으로 본격화되었으며, 현재까지 140여년의 전통을 바탕으로 교사의 배움의 공동체 형성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Schon이 제안한 ‘행위의 성찰’과 ‘행위 후 성찰’을 하기 위해서, 그리고 비판적인 반성적 수업(critical reflective teaching)을 통해 수업 방법이나 기술에 대한 관심에서 벗어나 더 중요한 무엇 과 왜 라는 질문에 집중하기 위해서, 그리고 수업 외부에서 작용하는 헤게모니에서 자유롭기 위해서 수업에 대한 반성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관례적이고 형식적인 수업관찰 및 수업컨설팅에서 벗어나, 실제적이고 교사의 주체성을 존중하는 지속적인 수업개선 문화를 창출하기 위해 수업연구(Lesson Study)는 적극 고려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applicability of the Lesson Study as a mechanism for continuous observation and improvement of the teach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jects the origins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Lesson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process of the Lesson Study and proposes the meaning and value of teachers reflection on lessons. The Lesson Study was begun as a review of the teaching practices at Tokyo Normal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in 1873, the first teacher training institute in modern Japan. Based on the tradition of over 140 years to date, it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forming a community of teachers learning and continuous growth. Reflection on the lesson is needed in order to do the Schön s Reflection-in-action and Reflection-on-action , in order to focus on questions of what and why in the class, which are more important than teaching methods and techniques, and in order to be free from the hegemony that is working in the class potentially. To get away from routine and formal classroom observation and class consulting, the Lesson Study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to create a culture of continuous improvement that respects teachers identity.
목차
Ⅰ. 서 론
Ⅱ. 수업연구(Lesson Study)의 기원과 전개
Ⅲ. 수업연구(Lesson Study)의 특징과 방법
Ⅳ. 교사의 반성적 수업성찰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교수효율성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박물관 견학 토론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등 영어 교사들의 이해와 실행 경험에 대한 연구
- 무용전공 여중생과 일반 여중생의 척추측만증 관련변인의 상대적 위험률
- 노년기영양교육의 방향제시를 위한 동해시노인의 영양 및 생활실태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보육교사 강점이 직무수행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교육 활동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교권침해 실태와 요인에 대한 초·중·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 여대생의 절주 행위 예측 모형 검정
-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학습 과정 탐색
- K-Beauty 전문인의 직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사회과 수업에서 ‘초등다움’의 의미 탐색
- 융합교육을 통한 학생 성취 평가의 장애 요인 및 지원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탐색
- 스마트 수학 프로그램을 적용한 STEAM 교육이 수학적 신념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성 함양 교구 개발 사례
- ‘자원순환’ 교육에 대한 2015 초등 개정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초등학생들의 영어어휘수준에 따른 어휘학습전략 양상의 차이
-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들의 루틴(Routine)을 활용한 능력 발휘에 관한 연구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미디어 관련 내용 분석
- 학교장의 리더십 행동 양상과 변화지향적 학교 풍토 간 구조적 관계 분석: ‘수업 지원 노력’과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영아 놀이의 연구동향 탐색
- 청소년활동 빈도, 주도적 참여도, 활동만족도 프로파일에 따른 적응유연성과 시민의식의 차이
- 초등교사의 반성적 수업성찰을 위한 수업연구(Lesson Study)의 이해
- 고등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양가성, 정서강도의 군집에 따른 인지적 유연성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
- 문화역사 활동이론을 통한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의 활동체계 분석
-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의 관계
- 대학 신입생의 자기대화(self-talk)에 대한 질적 연구
-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Early Citizenship Education: Pedagogical Possibilities for Global Citizenship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우울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환아(患兒)보육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인식과 요구도 조사
- 사회과 예비교사를 위한 학습자중심 수업전문성 프로그램 개발
-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몰입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그릿 및 전공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사고능력 증진을 위한 동시 활동 모색
- 어머니와 교사의 교육관과 유아 행복감 간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 TV 드라마 대본을 통한 한국어 관용표현의 사용 맥락 고찰
- 누리과정 연계 동화와 동요를 활용한 유아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양상 및 효과 분석
- 입학전형 유형별 전공 선택 및 학교생활 실태조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