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 강점이 직무수행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75
- 영문명
-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on Job Performance 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지영(Jo, Ji Young) 서현아(Seo, Hyun Ah)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7호, 255~27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15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강점과 직무수행 효능감의 인식을 알아보고, 보육교사 강점과 직무수행 효능감의 관계 및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84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 강점 척도와 직무수행 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보육 교사 강점과 직무수행 효능감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에게 높게 나타난 강점은 사랑, 성실, 책임감, 관리력, 환경구성력, 낙관성, 친절성 순이었다. 둘째, 보육교사 강점과 직무수행 효능감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강점 중 보육신념, 학습력, 관리력, 책임감, 지도력이 직무수행 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보육교사들이 직무를 수행할 때 보육교사 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하면 직무수행 효능감을 높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직무수행 효능감 증진을 위해 지속적인 보육교사 강점 계발 교육이 필요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the effect of the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on job performance efficacy. The research questios were as follows; First, what were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Second, what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Third, how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ffected job performance efficacy. The subject of study were 284 child care teacher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The tools of the study were a measure of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The procedures were in the literature study,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this survey, and the data collected were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d phase-return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were higher than normal, and the strong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were in order of love, sincerity, responsibility, management, environmental structure, optimism, and kindnes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Third, child care teachers strengths affe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job performance efficac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교수효율성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박물관 견학 토론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등 영어 교사들의 이해와 실행 경험에 대한 연구
- 무용전공 여중생과 일반 여중생의 척추측만증 관련변인의 상대적 위험률
- 노년기영양교육의 방향제시를 위한 동해시노인의 영양 및 생활실태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보육교사 강점이 직무수행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교육 활동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교권침해 실태와 요인에 대한 초·중·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 여대생의 절주 행위 예측 모형 검정
-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학습 과정 탐색
- K-Beauty 전문인의 직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사회과 수업에서 ‘초등다움’의 의미 탐색
- 융합교육을 통한 학생 성취 평가의 장애 요인 및 지원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탐색
- 스마트 수학 프로그램을 적용한 STEAM 교육이 수학적 신념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창의성 함양 교구 개발 사례
- ‘자원순환’ 교육에 대한 2015 초등 개정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 초등학생들의 영어어휘수준에 따른 어휘학습전략 양상의 차이
-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들의 루틴(Routine)을 활용한 능력 발휘에 관한 연구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미디어 관련 내용 분석
- 학교장의 리더십 행동 양상과 변화지향적 학교 풍토 간 구조적 관계 분석: ‘수업 지원 노력’과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영아 놀이의 연구동향 탐색
- 청소년활동 빈도, 주도적 참여도, 활동만족도 프로파일에 따른 적응유연성과 시민의식의 차이
- 초등교사의 반성적 수업성찰을 위한 수업연구(Lesson Study)의 이해
- 고등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양가성, 정서강도의 군집에 따른 인지적 유연성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
- 문화역사 활동이론을 통한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의 활동체계 분석
-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의 관계
- 대학 신입생의 자기대화(self-talk)에 대한 질적 연구
-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Early Citizenship Education: Pedagogical Possibilities for Global Citizenship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우울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환아(患兒)보육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인식과 요구도 조사
- 사회과 예비교사를 위한 학습자중심 수업전문성 프로그램 개발
-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몰입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소명감, 그릿 및 전공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안전지식과 안전문제해결사고능력 증진을 위한 동시 활동 모색
- 어머니와 교사의 교육관과 유아 행복감 간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 TV 드라마 대본을 통한 한국어 관용표현의 사용 맥락 고찰
- 누리과정 연계 동화와 동요를 활용한 유아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양상 및 효과 분석
- 입학전형 유형별 전공 선택 및 학교생활 실태조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