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이용수 259

영문명
An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Process-Oriented Assessment: Focusing on the Best Practice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용 김소영 박상현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935~95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7.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업무 담당 교사와 교과 담당 교사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중학교에 과정중심 평가가 도입되어 운영하면서 나타나는 성공 요인과 문제점을 찾고, 과정중심 평가가 중학교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내실화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시교육청의 정책연구학교인 학생평가 선도학교 중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 연속 지정된 학교 9개교를 우수사례로 선정하여 운영 사례보고서를 분석하였고, 2022년 10월 7일부터 20일까지 학생평가 선도학교 9개교 중 4개교를 선정하여 학교별 학생평가 담당교사와 학교당 2개 교과의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서울시교육청 학생평가 선도학교의 심층 면담을 통해 (1) 과정중심 평가 인식, (2) 학교의 과정중심 평가의 운영 수준 및 체계 현황, (3) 교과의 과정중심 평가의 운영 현황, (4) 학생평가 선도학교로 과정중심 평가 추진 성과의 한계 (5) 포스트 코로나 시대 내실화 방안 등 다섯 측면에서 이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였다. 또한, 과정중심 평가 운영 보고서를 통해 선도과목별 운영 학년⋅형태⋅학기, 실시 연도, 학기별⋅교과별 평가 영역, 운영 교과별 과정중심 평가의 장⋅단점, 수행평가 100% 운영시(혼합형 포함) 어려움, 과정중심 평가 활성화를 위해 요구되는 점, 해당 교과의 성격과 특성에 적합한 과정중심 평가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첫째, 과정중심 평가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명시된 바와 같이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청의 명확한 지침을 바탕으로 학교의 전체적 분위기를 조성한다면, 교사들이 과정중심 평가 관련 연수와 교사 모임(교원학습공동체, 교과협의회 등)을 통해 평가 전문성을 제고해야 한다. 셋째, 과정중심 평가의 비율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생과 학부모를 설득하기 위한 홍보가 적극 필요하다. 넷째, 교사의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ways to substantiate process-oriented assessment so that it can be widely used in middle school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in charge of work and subjects while introducing and operating process-oriented assessment in middle schools. Methods To this end, among the student evaluation leading schools, which are policy research school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nine schools designated as excellent cases for three consecutive years from 2019 to 2021 were selected and operational case reports were analyzed. Four out of nine leading schools for student evaluation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 evaluation at each school and teachers in charge of two subjects per school. Resul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leading schools in student evaluation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1) recognition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2) current status of operation level and system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3) current status of operation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4) student Opinions on this were identified in five aspects, including the limitations of performance in promoting process-oriented evaluation as a leading school in evaluation (5) internalization plan in the post-COVID-19 era.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operation report, the operating grade/form/semester for each leading subject, the year of implementation, the evaluation area for each semester/subjec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for each subject operated, difficulties in operating 100% performance evaluation (including mixed type) In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drawn by diversifying the points required to vitalize process-oriented evaluation and process-oriented evaluation suitable for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Conclusions Firstly, as specifi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rocess-oriented assessment should be continuously expanded to cultivate students' core competencies. Secondly, if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school is created based on the clear guidelines of the Office of Education, teachers should enhance their evaluation expertise through process-oriented assessment-related training and teacher meetings (teacher learning community, subject council, etc.). Thirdly,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 continuously operate it, publicity to persuade students and parents is actively needed. Fourthly, institutional measures to reduce the workload of teachers should be prepared.

목차

Ⅰ. 서론
Ⅱ.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의 실행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용,김소영,박상현. (2023).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4), 935-955

MLA

조용,김소영,박상현.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4(2023): 935-9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