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이용수 259
- 영문명
- An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Process-Oriented Assessment: Focusing on the Best Practice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용 김소영 박상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935~95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업무 담당 교사와 교과 담당 교사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중학교에 과정중심 평가가 도입되어 운영하면서 나타나는 성공 요인과 문제점을 찾고, 과정중심 평가가 중학교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내실화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시교육청의 정책연구학교인 학생평가 선도학교 중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 연속 지정된 학교 9개교를 우수사례로 선정하여 운영 사례보고서를 분석하였고, 2022년 10월 7일부터 20일까지 학생평가 선도학교 9개교 중 4개교를 선정하여 학교별 학생평가 담당교사와 학교당 2개 교과의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서울시교육청 학생평가 선도학교의 심층 면담을 통해 (1) 과정중심 평가 인식, (2) 학교의 과정중심 평가의 운영 수준 및 체계 현황, (3) 교과의 과정중심 평가의 운영 현황, (4) 학생평가 선도학교로 과정중심 평가 추진 성과의 한계 (5) 포스트 코로나 시대 내실화 방안 등 다섯 측면에서 이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였다. 또한, 과정중심 평가 운영 보고서를 통해 선도과목별 운영 학년⋅형태⋅학기, 실시 연도, 학기별⋅교과별 평가 영역, 운영 교과별 과정중심 평가의 장⋅단점, 수행평가 100% 운영시(혼합형 포함) 어려움, 과정중심 평가 활성화를 위해 요구되는 점, 해당 교과의 성격과 특성에 적합한 과정중심 평가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첫째, 과정중심 평가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명시된 바와 같이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청의 명확한 지침을 바탕으로 학교의 전체적 분위기를 조성한다면, 교사들이 과정중심 평가 관련 연수와 교사 모임(교원학습공동체, 교과협의회 등)을 통해 평가 전문성을 제고해야 한다. 셋째, 과정중심 평가의 비율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생과 학부모를 설득하기 위한 홍보가 적극 필요하다. 넷째, 교사의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ways to substantiate process-oriented assessment so that it can be widely used in middle school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in charge of work and subjects while introducing and operating process-oriented assessment in middle schools. Methods To this end, among the student evaluation leading schools, which are policy research school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nine schools designated as excellent cases for three consecutive years from 2019 to 2021 were selected and operational case reports were analyzed. Four out of nine leading schools for student evaluation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 evaluation at each school and teachers in charge of two subjects per school. Resul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leading schools in student evaluation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1) recognition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2) current status of operation level and system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3) current status of operation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4) student Opinions on this were identified in five aspects, including the limitations of performance in promoting process-oriented evaluation as a leading school in evaluation (5) internalization plan in the post-COVID-19 era.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operation report, the operating grade/form/semester for each leading subject, the year of implementation, the evaluation area for each semester/subjec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process-oriented assessment for each subject operated, difficulties in operating 100% performance evaluation (including mixed type) In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drawn by diversifying the points required to vitalize process-oriented evaluation and process-oriented evaluation suitable for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Conclusions Firstly, as specifi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rocess-oriented assessment should be continuously expanded to cultivate students' core competencies. Secondly, if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school is created based on the clear guidelines of the Office of Education, teachers should enhance their evaluation expertise through process-oriented assessment-related training and teacher meetings (teacher learning community, subject council, etc.). Thirdly,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 continuously operate it, publicity to persuade students and parents is actively needed. Fourthly, institutional measures to reduce the workload of teachers should be prepared.
목차
Ⅰ. 서론
Ⅱ.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의 실행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 초등 국어과 교과서 삽화 분석
- 지역 대학 혁신에 있어 학습자 ‘지역 경험’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학습 공간으로서 온라인 독서실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초등교사의 학교폭력사안처리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초기성인기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 증강현실(AR) 음악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경험
- 팬데믹 상황에서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업 지원 실태
- 수학 교사의 경제 수학 교수 실행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 실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성취동기,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미용과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출제경향 및 문항분석
-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행에 필요한 역량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탐색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로봇에 대한 태도, 행동특성, 로봇 외양에 대한 인식의 차이
- 감사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감사성향, 회복탄력성, 학교 및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과 융합학습 방안 연구
- 유아교사의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과학 구술평가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 성 지향성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과학을 통한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탐구 모형 개발
-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시선 이동 모델링 예제가 초등학생들의 그림자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 아동⋅청소년의 모래놀이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한국어 발음 연구 동향 분석
- 대학 진로교육⋅서비스 경험 유형 분석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탐색
- 사이버 대학교의 멘토링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중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화와 교육포부, 직업결정수준과의 관계 분석
-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역량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영향 변인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한 상담자의 자기수용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영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보육교사의 지원 경험 탐색
- A Study on the Music Major Stu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in China under the COVID-19 Situation
- 다문화청소년의 최초 비행요인에 대한 비연속시간 생존분석
- 중국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 코로나-19 상황 하에서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코로나 3년, 일상회복 단계에서 학생의 인식과 교육적 과제 탐색
- 유아교사를 위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K-MUSPI-S) 타당화 연구
- 청소년기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안 연구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 초등학생을 위한 LightFM 기반의 개인별 맞춤 도서 추천 엔진 개발 및 성능평가
- 개념 학습 개선을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교수학습모형 설계와 수업 적용에 따른 학생 만족도 평가
- 유아의 신체활동태도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내용기준과 수행기준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방향 탐색
-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인지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제안
-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 성과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학교 문화예술교육 평가 도구 개발
- 아동의 사회성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사이버폭력 감수성의 차이
- 특수학급에서의 역통합 놀이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인공지능기술 학습열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Exploring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hroughout the Pandemic
- 공부하는 엄마 대학원생의 다중역할 수행경험
- COVID-19 상황에서 Z세대 대학생들의 변화된 생활양상과 의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