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이버 대학교의 멘토링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이용수 141
- 영문명
- A Consensual Qualitative Study on Mentoring Experiences of Cyber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명화 송지희 김윤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213~23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 대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멘토링 참여의 경험과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멘토링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A 사이버 대학교에서 멘토링 참여 경험이 있는 사람을 공개 모집하였고, 멘토와 멘티 총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반구조화된 질문지와 개방형 질문을 통하여 참여자들의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Hill과 동료들(1997)에 의해 개발된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세 명의 연구자들이 평정팀으로 구성되어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하면서 합의하는 과정을 반복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료의 분석과 해석에서 객관성을 확보하려 노력하였다. 연구의 전체적 과정은 감수자의 감수 아래 시행되었다. 결과 사이버 대학교의 멘토링은 ‘참여동기’와 ‘참여경험’, ‘참여결과’ 및 ‘발전 방향’ 4개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첫째, 학업에서 도움이 필요하거나 과거 도움 받았던 경험이 멘토링 참여 동기였다. 둘째, 멘토링은 스스로에게도 도움이 되는 반면, 멘토링이 도움되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여 긍정적, 부정적 경험을 모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멘토링에 참여함으로써 학업과 학교 활동의 확장 뿐 아니라 공부하는 방법 및 동료와의 인간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학교 생활에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멘토링의 효과성과 필요성을 드러내며 멘토링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사이버 대학교에 적응하고 학업을 지속하는데 멘토링이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멘토링은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 서로가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관계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멘토링의 활성화를 위하여 적극적인 홍보와 지원이 필요하며, 일정한 구조를 가진 실질적인 체계로 시행되기를 제언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mentoring participation in cyber universities and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mentoring. Methods For this, this study openly recruited people with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mentoring in A cyber university, and then selected total ten mentors and mentees as research participants. After conducting interviews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open-ended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method developed by Hill et al.,(1997). In the rating team, three researchers repeated the process of consenting by exchanging opinions, and through this process, they made efforts to secure objectivity in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Results The mentoring of cyber university was classified into four areas such as ‘motive for participation’, ‘participatory experience’, ‘result of particip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First, the necessity to get help for study or experience of getting help in the past was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Second, even though mentoring was helpful to themselves, they also felt like mentoring was not helpful, so they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Third, they were adapting themselves to school life by not only expanding their learning and school activities, but also maintaining the method of study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peers. Lastly, this study present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mentoring by revealing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mentoring. Conclusions This study verified that mentoring played effective roles in adapting to cyber university and continuing study. Also, mentoring was not a unilateral relationship, but a mutually-helpful relationship.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active promotion and suppor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ubstantial system with a certain structure for the vitalization of mentor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 초등 국어과 교과서 삽화 분석
- 지역 대학 혁신에 있어 학습자 ‘지역 경험’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학습 공간으로서 온라인 독서실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초등교사의 학교폭력사안처리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초기성인기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 증강현실(AR) 음악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경험
- 팬데믹 상황에서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업 지원 실태
- 수학 교사의 경제 수학 교수 실행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 실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성취동기,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미용과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출제경향 및 문항분석
-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행에 필요한 역량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탐색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로봇에 대한 태도, 행동특성, 로봇 외양에 대한 인식의 차이
- 감사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감사성향, 회복탄력성, 학교 및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과 융합학습 방안 연구
- 유아교사의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과학 구술평가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 성 지향성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과학을 통한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탐구 모형 개발
-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시선 이동 모델링 예제가 초등학생들의 그림자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 아동⋅청소년의 모래놀이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한국어 발음 연구 동향 분석
- 대학 진로교육⋅서비스 경험 유형 분석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탐색
- 사이버 대학교의 멘토링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중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화와 교육포부, 직업결정수준과의 관계 분석
-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역량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영향 변인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한 상담자의 자기수용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영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보육교사의 지원 경험 탐색
- A Study on the Music Major Stu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in China under the COVID-19 Situation
- 다문화청소년의 최초 비행요인에 대한 비연속시간 생존분석
- 중국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 코로나-19 상황 하에서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코로나 3년, 일상회복 단계에서 학생의 인식과 교육적 과제 탐색
- 유아교사를 위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K-MUSPI-S) 타당화 연구
- 청소년기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안 연구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 초등학생을 위한 LightFM 기반의 개인별 맞춤 도서 추천 엔진 개발 및 성능평가
- 개념 학습 개선을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교수학습모형 설계와 수업 적용에 따른 학생 만족도 평가
- 유아의 신체활동태도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내용기준과 수행기준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방향 탐색
-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인지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제안
-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 성과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학교 문화예술교육 평가 도구 개발
- 아동의 사회성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사이버폭력 감수성의 차이
- 특수학급에서의 역통합 놀이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인공지능기술 학습열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Exploring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hroughout the Pandemic
- 공부하는 엄마 대학원생의 다중역할 수행경험
- COVID-19 상황에서 Z세대 대학생들의 변화된 생활양상과 의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