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 성과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학교 문화예술교육 평가 도구 개발
이용수 269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for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Establish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School Arts Instructor Support Busin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지선 홍후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161~18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질 관리 체계를 마련을 통해 학교 문화예술교육 참여 주체인 학교예술강사, 운영학교, 지역운영기관의 역량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각 주체들간의 상호평가를 돕는 평가 도구 개발에 목적이 있다. 방법 학교 문화예술교육 참여 주체인 예술강사와 지역운영기관의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해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문항의 가안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문화예술교육 관련 전문가 31명과 5회 이상의 FGI, 서면검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평가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학교 문화예술교육 평가 체계 구축을 위해 첫째, 예술강사 평가 문항으로 예술강사, 학교 교사, 수혜 학생별 평가 문항을 제작하였다. 평가 영역은 자기성찰문항, 예술전문성(관찰⋅이해/ 창작⋅감상), 교육전문성(수업진행, 학생관리), 강사역량(강사소양, 교사와의 협력), 종합만족도 5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예술강사들의 의견 수렴을 위한 운영학교 협조도 문항은 별도로 개발하였다. 둘째, 지역운영기관 평가 문항으로 예술강사와 학교 교사로 구분하여 구분하여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평가 영역으로 행정 지원, 역량 지원, 사업 지원, 민원 관리, 안내 및 홍보 5가지 영역에 따른 세부 지표를 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예술강사와 지역운영기관 평가 문항은 ‘학교예술강사, 운영 학교 교사와 학생, 지역운영기관’ 간의 상호평가 체계 수립 등을 통해 학교 문화예술교육 질 관리를 위한 역량 관리 체계 수립에 기여함으로써 각 주체들의 문화예술 실행 역량 증진을 통해 학생들에게 질 높은 다양한 영역의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현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to assist in the mutual evaluation of the participants in the school arts teacher support project, namely arts instructors, operating schools, and local operating agencies, in order to establish a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school cultural arts education an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cultural arts education capabilities of those who participate in each school's cultural arts education. Methods Based on previous studies, a draft of the questions was developed and FGI, written review, and survey were conducted with 31 expert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evaluation items to confirm the validity. Results First, questions for each subject of art instructors, school teachers, and beneficiary students were produced to evaluate art instructors, and consisted of self-reflection questions, art expertise (observation, understanding/creation, and appreciation), educational expertise (class progress, student management), instructor competency (instructor literacy, cooperation with teachers), and comprehensive satisfaction evaluation. In addition, additional questions were produced for cooperation in the operating school to collect opinions from art instructors. Second, it was developed by dividing it into art instructors and teachers in charge for the evaluation of local operating institutions, and both art instructors and teachers developed evaluation questions in five areas: administrative support, competency support, business support, civil complaint management, guidance, and promotion. Conclusions Through the final development of the arts teacher and local operating agency evaluation item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a capacity management system for school cultural arts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provides important criteria that must be sustained or improved in the field of school cultural arts education, and helps enhance the cultural arts capabilities of each participant in the school arts education, including arts instructors, operating schools, and local operating agen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 초등 국어과 교과서 삽화 분석
- 지역 대학 혁신에 있어 학습자 ‘지역 경험’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학습 공간으로서 온라인 독서실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초등교사의 학교폭력사안처리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초기성인기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 증강현실(AR) 음악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경험
- 팬데믹 상황에서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업 지원 실태
- 수학 교사의 경제 수학 교수 실행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 실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성취동기,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미용과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출제경향 및 문항분석
-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행에 필요한 역량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탐색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로봇에 대한 태도, 행동특성, 로봇 외양에 대한 인식의 차이
- 감사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감사성향, 회복탄력성, 학교 및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과 융합학습 방안 연구
- 유아교사의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과학 구술평가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 성 지향성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과학을 통한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탐구 모형 개발
-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시선 이동 모델링 예제가 초등학생들의 그림자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 아동⋅청소년의 모래놀이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한국어 발음 연구 동향 분석
- 대학 진로교육⋅서비스 경험 유형 분석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탐색
- 사이버 대학교의 멘토링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중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화와 교육포부, 직업결정수준과의 관계 분석
-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역량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영향 변인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한 상담자의 자기수용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영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보육교사의 지원 경험 탐색
- A Study on the Music Major Stu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in China under the COVID-19 Situation
- 다문화청소년의 최초 비행요인에 대한 비연속시간 생존분석
- 중국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 코로나-19 상황 하에서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코로나 3년, 일상회복 단계에서 학생의 인식과 교육적 과제 탐색
- 유아교사를 위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K-MUSPI-S) 타당화 연구
- 청소년기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안 연구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 초등학생을 위한 LightFM 기반의 개인별 맞춤 도서 추천 엔진 개발 및 성능평가
- 개념 학습 개선을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교수학습모형 설계와 수업 적용에 따른 학생 만족도 평가
- 유아의 신체활동태도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내용기준과 수행기준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방향 탐색
-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인지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제안
-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 성과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학교 문화예술교육 평가 도구 개발
- 아동의 사회성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사이버폭력 감수성의 차이
- 특수학급에서의 역통합 놀이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인공지능기술 학습열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Exploring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hroughout the Pandemic
- 공부하는 엄마 대학원생의 다중역할 수행경험
- COVID-19 상황에서 Z세대 대학생들의 변화된 생활양상과 의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