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305
- 영문명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Using Flipped Learning-Based Design Thinking: Focusing on Horticultural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국윤정 장은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363~38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성인 발달장애인 대상 원예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던 성인 발달장애인 대상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 및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수 설계 모형인 ADDIE 모형의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절차에 따라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였고, 구안한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적용한 후 효과를 분석하였다.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원예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인 발달장애인의 공감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의 분석을 통한 교육적 효과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참여자들과 관계자들의 개별 인터뷰로부터 도출된 키워드의 빈도와 연결중심성을 탐색하는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 원예교육 프로그램 적용 결과, 성인 발달장애인의 공감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가 프로그램 적용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 참여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프로그램 처치 후 성인 발달장애인의 수업 참여 태도, 학습 경험에 대한 만족도 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각 단계로부터 얻은 결과 및 시사점을 바탕으로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원예교육 프로그램을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강의식 원예교육 프로그램과는 차별적으로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원예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성인 발달장애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대의 발달장애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 교수학습방법의 정착 가능성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apply a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using flipped learning based design thinking, and to verify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goal wa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provide basic data and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argeting adults with DD, where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as not been well done. Methods The program development was carried out following the procedures of the ADDIE model stag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its effects were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sing flipped learning-based design thinking,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was evaluated through the analysis of empathy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adults with DD. Furthermore, a network text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requency and centrality of keywords derived from individual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relevant stakeholders. Result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developed flipped learning-based design thinking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empathy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adults with DD compared to before the program implementation. Additionally, throug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their attitudes toward clas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ith learning experiences following the program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btained from each stage, the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adults with DD using flipped learning-based design thinking was ultimately completed. Conclusion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sing flipped learning-based design thinking, which is distinct from traditional lecture-based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specifically targeting adults with DD.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potential for the establishment of flipped learning-based design thinking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not only for adults with DD but also for learners with DD across various age group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 초등 국어과 교과서 삽화 분석
- 지역 대학 혁신에 있어 학습자 ‘지역 경험’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학습 공간으로서 온라인 독서실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초등교사의 학교폭력사안처리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초기성인기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 증강현실(AR) 음악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경험
- 팬데믹 상황에서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업 지원 실태
- 수학 교사의 경제 수학 교수 실행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 실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성취동기,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미용과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출제경향 및 문항분석
-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행에 필요한 역량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탐색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로봇에 대한 태도, 행동특성, 로봇 외양에 대한 인식의 차이
- 감사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감사성향, 회복탄력성, 학교 및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과 융합학습 방안 연구
- 유아교사의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과학 구술평가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 성 지향성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과학을 통한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탐구 모형 개발
-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시선 이동 모델링 예제가 초등학생들의 그림자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 아동⋅청소년의 모래놀이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한국어 발음 연구 동향 분석
- 대학 진로교육⋅서비스 경험 유형 분석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탐색
- 사이버 대학교의 멘토링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중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화와 교육포부, 직업결정수준과의 관계 분석
-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역량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영향 변인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한 상담자의 자기수용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영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보육교사의 지원 경험 탐색
- A Study on the Music Major Stu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in China under the COVID-19 Situation
- 다문화청소년의 최초 비행요인에 대한 비연속시간 생존분석
- 중국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 코로나-19 상황 하에서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코로나 3년, 일상회복 단계에서 학생의 인식과 교육적 과제 탐색
- 유아교사를 위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K-MUSPI-S) 타당화 연구
- 청소년기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안 연구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 초등학생을 위한 LightFM 기반의 개인별 맞춤 도서 추천 엔진 개발 및 성능평가
- 개념 학습 개선을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교수학습모형 설계와 수업 적용에 따른 학생 만족도 평가
- 유아의 신체활동태도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내용기준과 수행기준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방향 탐색
-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인지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제안
-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 성과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학교 문화예술교육 평가 도구 개발
- 아동의 사회성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사이버폭력 감수성의 차이
- 특수학급에서의 역통합 놀이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인공지능기술 학습열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Exploring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hroughout the Pandemic
- 공부하는 엄마 대학원생의 다중역할 수행경험
- COVID-19 상황에서 Z세대 대학생들의 변화된 생활양상과 의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이버대학 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4차 산업혁명 신기술 교육의 현황과 과제: 지역 과학관 강사들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 팀 기여도 동료평가에서 평가 준거의 구체성에 따른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과 동료평가의 효과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