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기술 학습열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이용수 139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n the Desire of Learning AI_focusing on the 5,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안화실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AI기술을 혁신기술로 상정하고 AI-philia의 관점에서 교육수혜자인 초등학교 고학년의 AI기술 사용경험, AI기술에 대한 유용성 및 AI사회에 대한 복잡성 인식수준, 개인의 혁신성, 부모의 AI기술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AI기술 학습열망 수준이 어떠한지, AI기술을 학습하고자 하는 열망 수준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방법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245명을 대상으로 AI기술 사용경험, 유용성 기대수준 및 혁신성, AI기술 사회에 대한 복잡성, 부모의 AI기술 교육의 필요성, 이들의 AI혁신기술에 대한 학습 열망 수준을 파악하고 성별, 기술경험 그룹 간 차이 분석, 학습 열망의 종속변인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AI기술 사용경험이 없는 방관자 그룹의 변인 평균은 타 그룹의 점수보다 가장 낮게 나타났고 다양한 유형의 AI기술 사용경험이 많은 혁신가그룹은 다섯 가지 변인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유용성과 학습열망 변인에서 남녀 간, 혁신성 변인에서 사용경험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AI혁신기술에 대한 학습열망 변인에 혁신성, 성별, 부모교육 필요성, 유용성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으며 사용경험 변인은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AI네이티브의 경험과 혁신기술에 대한 인식, 학습열망 수준을 파악하여 학습수요자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AI 교육 실천과 교육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변인 추가 및 비교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tudents’ experience with AI, their recognition, the desire of learning AI technology assumed innovation-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AI-philia, and to analyze variables how much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e on the desire of learning AI technology. Methods 245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in metropolitan city were respondents, who answered based on pencil and paper survey. M(Mean) and SD(Standard Deviation) of variables(experience with AI technology, perceived usefulness, innovation tendency, needs on educating parents to be knowledgeable, how much complicated AI society , and the desire of learning AI), T-test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ale and female, ANOVA for among 4-different experienced group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how much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e on the desire of learning AI were conducted. Results The result was that Bystander(inexperienced-AI group) displayed the lowest point of all variables, reversely as expected the innovator(the highest experienced-AI group) showed the highest mean. Gender difference in perceived ruefulness and the desire of learning AI,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e two groups like between Bystander and Innovator, between Taster and Innovator in Innovation tendency were revealed. The power of impacts on the desire of learning AI showed orderly innovation, gender, needs on educating parents, and perceived usefulness. Exceptionally a variable of AI experience was excluded from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capture AI natives's experience and how they perceive AI technology and will give a basic cue for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I education praxis in Elementary school. Additionally the further research is proposed to compare between leading schools and ordinary schools of AI literacy education and add various variabl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 초등 국어과 교과서 삽화 분석
- 지역 대학 혁신에 있어 학습자 ‘지역 경험’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학습 공간으로서 온라인 독서실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초등교사의 학교폭력사안처리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초기성인기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 증강현실(AR) 음악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경험
- 팬데믹 상황에서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업 지원 실태
- 수학 교사의 경제 수학 교수 실행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 실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성취동기,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미용과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출제경향 및 문항분석
-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행에 필요한 역량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탐색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로봇에 대한 태도, 행동특성, 로봇 외양에 대한 인식의 차이
- 감사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감사성향, 회복탄력성, 학교 및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과 융합학습 방안 연구
- 유아교사의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과학 구술평가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 성 지향성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과학을 통한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탐구 모형 개발
-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시선 이동 모델링 예제가 초등학생들의 그림자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 아동⋅청소년의 모래놀이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한국어 발음 연구 동향 분석
- 대학 진로교육⋅서비스 경험 유형 분석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탐색
- 사이버 대학교의 멘토링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중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화와 교육포부, 직업결정수준과의 관계 분석
-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역량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영향 변인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한 상담자의 자기수용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영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보육교사의 지원 경험 탐색
- A Study on the Music Major Stu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in China under the COVID-19 Situation
- 다문화청소년의 최초 비행요인에 대한 비연속시간 생존분석
- 중국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 코로나-19 상황 하에서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코로나 3년, 일상회복 단계에서 학생의 인식과 교육적 과제 탐색
- 유아교사를 위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K-MUSPI-S) 타당화 연구
- 청소년기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안 연구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 초등학생을 위한 LightFM 기반의 개인별 맞춤 도서 추천 엔진 개발 및 성능평가
- 개념 학습 개선을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교수학습모형 설계와 수업 적용에 따른 학생 만족도 평가
- 유아의 신체활동태도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내용기준과 수행기준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방향 탐색
-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인지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제안
-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 성과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학교 문화예술교육 평가 도구 개발
- 아동의 사회성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사이버폭력 감수성의 차이
- 특수학급에서의 역통합 놀이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인공지능기술 학습열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Exploring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hroughout the Pandemic
- 공부하는 엄마 대학원생의 다중역할 수행경험
- COVID-19 상황에서 Z세대 대학생들의 변화된 생활양상과 의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