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화와 교육포부, 직업결정수준과의 관계 분석

이용수 122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Self-awareness and Educational Aspiration, Job Decision Level of General High-School Students: Analysing KCYPS Data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변주영 조은혜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75~9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7.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을 유형화하고, 자아인식 유형별 교육포부와 직업결정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0 6차년도 자료(2015)를 활용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중1 코호트의 6차년도 시기의 자아인식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교육포부와 직업결정수준에 각각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SPSS 25.0과 Mplus 8.0을 활용하였다. 결과 분석에 활용된 표본 수는 1,366명이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은 4가지로 나뉘며 선행연구 및 유형별 프로파일 특성에 따라 자아혼미형, 진로집중형, 탐색진행형, 진로탄력형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별 교육포부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자아혼미형의 교육포부 수준이 탐색진행형, 진로집중형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별 직업결정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진로탄력형, 진로집중형, 탐색진행형, 자아혼미형 순으로 직업결정수준이 높았으며 진로탄력형과 진로집중형의 차이를 제외한 모든 유형 간 비교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학술적 제안을 도출하였다. 실천적 차원에서 부처는 교육과정 내 자아정체감 및 자아존중감 내용을 강화하고, 학교는 자아인식 유형별 맞춤 지원을 활성화하며, 학생은 자아인식을 높이고 자기주도적 진로개척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학술적 차원에서 연구 대상의 다양화, 교육포부 영향요인에 대한 다차원적 탐색, 진로 및 직업결정 수준 향상을 위한 자아인식 확립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self-awareness of Korean General high-school students’ and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ducational aspiration and job decision level by type of self-awareness.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six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0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Mplus 8.0. The number of samples used for the analysis is 1,366. Results First, the self-awareness types of 3rd grade general high-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which are self-diffusion type, career identity laden type, search progressive type, and career-resilience laden type. Second, the educational aspiration of the self-diffusion typ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earch progressive type and of career identity laden type. Third, the level of job decision of each type of self-awaren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pecifically, the job decision level of career-resilience laden type is the highest, then that of career identity laden type is next, and that of search progressive type, that of self-diffusion type is the lowest. Conclusions Practical and academic proposal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t the practical level, ministries need to emphasize self-identity and self-esteem in the curriculum, and schools need customized support for each type of self-awareness. Students need to raise self-awareness and make efforts to develop self-directed career development. At the academic level, it was suggested that follow-up studies are needed on diversification of research subjects, multidimensional exploration of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aspiration, and illuminatation of self-awareness to improve career and job decision-making leve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주영,조은혜. (2023).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화와 교육포부, 직업결정수준과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4), 75-91

MLA

변주영,조은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화와 교육포부, 직업결정수준과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4(2023): 75-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