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인지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4
- 영문명
-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Perceived Achievement in Non Face to Face and Face to Face Classes: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연 김기홍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351~36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만족도, 인지된 성취도가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에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인지된 성취도 간에 학습만족도가 매개하는지 분석하였다. 방법 2022학년도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에 참여한 동일 학생 210명의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고, Process Macro 4.0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지된 성취도는 대면 수업이 비대면 수업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만족도와 인지된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학습만족도는 인지된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인지된 성취도 간에 학습만족도는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아지면 학습만족도가 올라가고, 인지된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을 모두 경험한 학생들의 결과이므로 코로나 이후의 대학 교육이 고려할 수업의 특성과 학생들의 성과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were difference between non face to face and face to face classes, and analyzed whether learning satisfaction mediated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erceived achievement. Methods The response results of 210 sam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non face to face class and face to face classes in 2022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4.0.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non face to face and face to face classes. The perceived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ace to face classes than in non face to face classes.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erceived achievem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 that wh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creases, learning satisfaction increases and perceived achievement can be improved. This study is the result of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both non face to face and face to face classes, so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student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s of classes to be considered in post COVID university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 초등 국어과 교과서 삽화 분석
- 지역 대학 혁신에 있어 학습자 ‘지역 경험’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학습 공간으로서 온라인 독서실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초등교사의 학교폭력사안처리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초기성인기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 증강현실(AR) 음악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경험
- 팬데믹 상황에서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업 지원 실태
- 수학 교사의 경제 수학 교수 실행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 실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성취동기,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미용과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출제경향 및 문항분석
-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행에 필요한 역량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탐색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로봇에 대한 태도, 행동특성, 로봇 외양에 대한 인식의 차이
- 감사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감사성향, 회복탄력성, 학교 및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과 융합학습 방안 연구
- 유아교사의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과학 구술평가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 성 지향성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과학을 통한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탐구 모형 개발
-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시선 이동 모델링 예제가 초등학생들의 그림자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 아동⋅청소년의 모래놀이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한국어 발음 연구 동향 분석
- 대학 진로교육⋅서비스 경험 유형 분석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탐색
- 사이버 대학교의 멘토링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중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화와 교육포부, 직업결정수준과의 관계 분석
-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역량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영향 변인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한 상담자의 자기수용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영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보육교사의 지원 경험 탐색
- A Study on the Music Major Stu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in China under the COVID-19 Situation
- 다문화청소년의 최초 비행요인에 대한 비연속시간 생존분석
- 중국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 코로나-19 상황 하에서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코로나 3년, 일상회복 단계에서 학생의 인식과 교육적 과제 탐색
- 유아교사를 위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K-MUSPI-S) 타당화 연구
- 청소년기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안 연구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 초등학생을 위한 LightFM 기반의 개인별 맞춤 도서 추천 엔진 개발 및 성능평가
- 개념 학습 개선을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교수학습모형 설계와 수업 적용에 따른 학생 만족도 평가
- 유아의 신체활동태도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내용기준과 수행기준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방향 탐색
-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인지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제안
-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 성과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학교 문화예술교육 평가 도구 개발
- 아동의 사회성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사이버폭력 감수성의 차이
- 특수학급에서의 역통합 놀이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인공지능기술 학습열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Exploring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hroughout the Pandemic
- 공부하는 엄마 대학원생의 다중역할 수행경험
- COVID-19 상황에서 Z세대 대학생들의 변화된 생활양상과 의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지원역량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 AI 교육 및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경험
- 유아들이 놀이하고 싶은 바깥놀이공간의 의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