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청소년의 모래놀이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이용수 551
- 영문명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sand play therap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지환 이상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497~51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아동,청소년모래놀이치료의 총 효과크기와 치료변인인 집단 구성원수, 치료 대상의 문제 유형, 참여대상의 연령, 총 진행 회기수, 주당 회기수, 1회기당 시간수, 구조화, 종속변인의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5년 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발표된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1556편을 분석하였다. 1차 2014년 이전논문, 중복논문 412편 제외, 2차선별에서 대상에 따라 21편을 제외, 최종선별에서 통계수치 누락된 3편을 제외한 총 18편을 선정하였다. 결과 전체 효과크기는 0.849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로는 집단구성원은 개별일 경우, 치료대상의 문제유형으로는 정서문제가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참여 대상의 경우 청소년의 경우보다 아동이, 회기수의 경우 10회기 이하의 경우가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주당 회기수는 일주일에 3일을 한 경우, 1회기당 효과크기는 70분 이상일 경우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구조화는 비구조화일 경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서적인 변인의 효과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모래놀이치료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하였고, 모래놀이를 실시하고 있는 현장에서 아동,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위해 모래놀이치료를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함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total effect size of domestic children and youth sand play therapy, the, number of group members, the type of problem to be treated, the agd of participants,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hours per session, structure, and dependent variables.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1556 domestic thesis papers and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2015 to April 2022 were analyzed. A total of 18 papers were selected, excluding 412 papers before the first 2014 and overlapping papers, 21 papers were excluded depending on the target in the second selection, and 3 statistical figures were omitted from the final selection. Results The total effect size was 0.849 which showed a large effect size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for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treatment variable, when the group members were individual, emotional problems were more effective as the type of problem to ve treated. IN the case of participants, children were more effective than adolescents, and in the case of 10 sessions or less.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was high when it was three days a week, and the effect size per session was more than 70 minutes. Structuralization was found to ve effective when unstructur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the emotional variable was the most effective. Conclusions This study proved tis effectiveness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of sand play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and is meaningful in providing practical data on the direction of more effecticve use of sand play therapy for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 초등 국어과 교과서 삽화 분석
- 지역 대학 혁신에 있어 학습자 ‘지역 경험’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학습 공간으로서 온라인 독서실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초등교사의 학교폭력사안처리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초기성인기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 증강현실(AR) 음악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경험
- 팬데믹 상황에서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업 지원 실태
- 수학 교사의 경제 수학 교수 실행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 실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성취동기,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미용과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출제경향 및 문항분석
-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행에 필요한 역량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탐색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로봇에 대한 태도, 행동특성, 로봇 외양에 대한 인식의 차이
- 감사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감사성향, 회복탄력성, 학교 및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과 융합학습 방안 연구
- 유아교사의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과학 구술평가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 성 지향성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과학을 통한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탐구 모형 개발
-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시선 이동 모델링 예제가 초등학생들의 그림자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 아동⋅청소년의 모래놀이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한국어 발음 연구 동향 분석
- 대학 진로교육⋅서비스 경험 유형 분석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탐색
- 사이버 대학교의 멘토링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중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화와 교육포부, 직업결정수준과의 관계 분석
-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역량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영향 변인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한 상담자의 자기수용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영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보육교사의 지원 경험 탐색
- A Study on the Music Major Stu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in China under the COVID-19 Situation
- 다문화청소년의 최초 비행요인에 대한 비연속시간 생존분석
- 중국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 코로나-19 상황 하에서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코로나 3년, 일상회복 단계에서 학생의 인식과 교육적 과제 탐색
- 유아교사를 위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K-MUSPI-S) 타당화 연구
- 청소년기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안 연구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 초등학생을 위한 LightFM 기반의 개인별 맞춤 도서 추천 엔진 개발 및 성능평가
- 개념 학습 개선을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교수학습모형 설계와 수업 적용에 따른 학생 만족도 평가
- 유아의 신체활동태도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내용기준과 수행기준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방향 탐색
-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인지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제안
-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 성과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학교 문화예술교육 평가 도구 개발
- 아동의 사회성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사이버폭력 감수성의 차이
- 특수학급에서의 역통합 놀이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인공지능기술 학습열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Exploring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hroughout the Pandemic
- 공부하는 엄마 대학원생의 다중역할 수행경험
- COVID-19 상황에서 Z세대 대학생들의 변화된 생활양상과 의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교사의 놀이성, 민감성, 놀이지원역량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 AI 교육 및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경험
- 유아들이 놀이하고 싶은 바깥놀이공간의 의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