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제안
이용수 326
- 영문명
- Education plan for the formation of counselor professional identity based on practical refle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서윤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4호, 237~25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실천적 성찰을 중심으로 한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은 어떠한가?’,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성찰 기반 교육방안은 무엇인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상담사 발달과정의 공통점을 추출하여,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을 도식화한 후, 마지막으로 성찰 기반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교육방안을 제안하였다. 결과 첫째, 전문직 정체성은 전문직에 대한 이해와 동기, 현장경험 및 실습, 현장 적응의 어려움, 개인의 경험과 전문직업인의 경험이 통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둘째,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이겨내기 위해 개인적 성찰 능력을 발휘하며 동료 상호작용, 수퍼비전 등의 노력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으로 상담 교과의 교수목표와 학습목표 내에 전문직 정체성과 성찰학습 명시하기를 제안하였다. 결론 사회적 변화에 따른 상담사 역할을 재조명하고 한 사회의 정신건강을 책임지는 전문가로서 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실천적 성찰 기반의 교육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상담사 정체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교육목표와 학습목표를 명확히 하고 재구성하는데 그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ducational approaches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ounseling based on reflective practice. Specifically,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how do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occur in counseling? Second, what are the reflective practice-based educational approaches to formulating professional identity in counseling? Metho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nalyzed previous research on professional identity to identify its components, and extracted commonalities through studies on developmental experienc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ounseling was diagrammed, and educational approaches were proposed based on reflective practice. Results First, professional identity is formed by integrating understanding and motivation towards the profession, practical experience and training,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he field, and personal and professional experiences. Secon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it has been confirmed that individuals exhibit personal reflective abilities and make efforts such as peer interaction and supervision. Third, as an educational approach to forming professional identity, it is proposed to explicitly state professional identity and reflective learning within the teaching objectives and learning goals of counseling courses.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practical and reflective educational approaches for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ounseling, in order to reassess the role of counselors and strengthen their abilities as experts responsible for the mental health of a society.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larifying and restructur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learning goals that solidify the identity of counselors.
목차
Ⅰ. 서론
Ⅱ.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Ⅲ.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
Ⅳ. 성찰 기반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 교육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 초등 국어과 교과서 삽화 분석
- 지역 대학 혁신에 있어 학습자 ‘지역 경험’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학습 공간으로서 온라인 독서실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초등교사의 학교폭력사안처리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초기성인기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 증강현실(AR) 음악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경험
- 팬데믹 상황에서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업 지원 실태
- 수학 교사의 경제 수학 교수 실행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 실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성취동기,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미용과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출제경향 및 문항분석
-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행에 필요한 역량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탐색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로봇에 대한 태도, 행동특성, 로봇 외양에 대한 인식의 차이
- 감사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감사성향, 회복탄력성, 학교 및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과 융합학습 방안 연구
- 유아교사의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과학 구술평가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 성 지향성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과학을 통한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탐구 모형 개발
-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시선 이동 모델링 예제가 초등학생들의 그림자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 아동⋅청소년의 모래놀이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한국어 발음 연구 동향 분석
- 대학 진로교육⋅서비스 경험 유형 분석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탐색
- 사이버 대학교의 멘토링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중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화와 교육포부, 직업결정수준과의 관계 분석
-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역량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영향 변인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한 상담자의 자기수용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영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보육교사의 지원 경험 탐색
- A Study on the Music Major Stu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in China under the COVID-19 Situation
- 다문화청소년의 최초 비행요인에 대한 비연속시간 생존분석
- 중국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 코로나-19 상황 하에서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코로나 3년, 일상회복 단계에서 학생의 인식과 교육적 과제 탐색
- 유아교사를 위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K-MUSPI-S) 타당화 연구
- 청소년기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안 연구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 초등학생을 위한 LightFM 기반의 개인별 맞춤 도서 추천 엔진 개발 및 성능평가
- 개념 학습 개선을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교수학습모형 설계와 수업 적용에 따른 학생 만족도 평가
- 유아의 신체활동태도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내용기준과 수행기준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방향 탐색
-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인지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제안
-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 성과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학교 문화예술교육 평가 도구 개발
- 아동의 사회성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사이버폭력 감수성의 차이
- 특수학급에서의 역통합 놀이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인공지능기술 학습열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Exploring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hroughout the Pandemic
- 공부하는 엄마 대학원생의 다중역할 수행경험
- COVID-19 상황에서 Z세대 대학생들의 변화된 생활양상과 의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4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지역사회 연계 협력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성인학습자의 대학학위과정 참여동기 및 교육만족이 대학생활 후 삶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실존적 인본주의 관점에서 본 평생교육의 의미 및 개념 정의에 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