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규모학교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원 및 전문가 인식 분석

이용수 496

영문명
Analysis of Teachers' and Experts' Perception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mall Schools: Focusing on the Case of G Office of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용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8호, 291~31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G 교육청의 소규모학교 고교학점제 운영의 어려움을 교원 및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하여 소규모학교 고교학점제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소규모학교에서의 고교학점제 담당 교사 및 업무 담당 교육전문직원(지역청, 도교육청) 대상으로 1~9차 심층면담(2022. 5.~2022. 9.)을 진행하였다. 1차 면담에서 소규모학교 고교학점제 담당자와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참여자의 면담 내용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고, 9차 면담에서는 지역 단위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사례를 면담하였으며, 면담 자료는 녹음 후 전사문을 작성하였다. 결과 G 교육청의 소규모학교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에 대한 면담 분석을 통해 (1) 교과 신청 및 개설, (2) 교원 수급, (3) 업무 증가, (4) 학사일정 조정 및 학교 간 이동거리, (5) 학교시설 및 지역자원 활용, 공감대 형성 및 인식의 전환 등 여섯 측면에서 이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였다. 또한, 소규모학교 고교학점제 운영 현황,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 사례, 소규모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한 요구, 소규모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한 요구 운영 모형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첫째, 현재 지역 내 교과연구회 차원의 교류를 넘어 교육지원청 중심의 교사 간 소통이 일상화되도록 지역별 협의체를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외부 강사 활용 인력풀 구축 및 안정적인 교원 수급 개선이 시급하다. 셋째,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학교 업무조직이 개편되어야 한다. 넷째, 담당 교사의 업무량 적정성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mall school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experts on the difficulty of opera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mall schools by G Office of Educat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Methods To this end, 1st to 9th in-depth interviews (May 2022 to September 2022)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in charg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mall schools and professional education staff in charge (regional offices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the first interview, the content of the interview between the person in charg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a small school and the participants in the inter-school joint curriculum was intensively discussed. In the ninth interview, cases of joint education courses between local unit schools were discussed, and the interview material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Results G Through interview analysis on small school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cases, (1) course application and opening, (2) teacher supply and demand, (3) work increase, (4) academic schedule adjustment and travel distance between schools, (5) Opinions were identified in six aspects, including the use of school facilities and local resources, the formation of consensus, and the shift in perception. In addition,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in small schools, cases of joint curriculum operation between schools, demand for vitalization of joint curriculum between small schools, and demand operation model for vitalization of joint curriculum between small schools. Conclusions First, regional consultative bodies should be activated so that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centered on the Office of Education becomes routine beyond exchanges at the level of current subject research associations in the region. Second, it is urgent to establish a human resource pool using external instructors and improve the stable supply of teachers. Third, the school work organiz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must be reformed. Fourth, the principle of adequacy of the teacher's workload should be applied.

목차

Ⅰ. 서론
Ⅱ.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고교학점제 실행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정책적 제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용. (2023).소규모학교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원 및 전문가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8), 291-312

MLA

조용. "소규모학교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원 및 전문가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8(2023): 291-3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