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융합형 인재의 정서 핵심역량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이용수 199

영문명
The classific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latent classes of emotional core competencies of talents with creativity-converge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노영주 김재철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8호, 1~1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창의융합형 인재의 정서 핵심역량 하위요인인 행복감, 진로성숙, 창의인성, 시민참여에 따른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잠재계층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교육종단연구 1차 년(2017년)에 표집한 3,000명(초4, 중1, 고1 코호트) 중 2020년에 고등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4년 차 학생이었다. 대상자 표집은 유층표집법(stratified sampling)으로 대구광역시를 8개 행정구역으로 나누고 구역 내 학교는 무선표집 하였으며, 표집층 별 학교 수는 전체 학생 수 대비 해당 표집층에 속한 학생 수에 비례하여 결정하였다. 고등학교는 계열에 따라 일반계고, 특수목적고, 특성화고, 자율형 공립고를 구분하여 학생 수에 비례하여 결정하였으며, 최종 남학생 979명(52.5%), 여학생 897명(47.8%) 총 1,876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정서 핵심역량 측정도구는 대구교육종단연구에 사용된 행복감, 진로성숙, 창의인성, 시민참여 관련 총 49문항을 이용하였으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 요인(3개 요인), 가정 요인(5개 요인), 학교 요인(5개 요인)으로 구분하고 해당 문항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Mplus를 이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잠재계층의 수는 3개로 분류하였을 때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잠재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요인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정서 핵심역량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 요인에서는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셋째, 학교 요인에서는 친구의 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 요인에서 자기효능감은 전반적 하위군에 비해 상위군이 월등한 영향을 미치고, 친구의 지지와 협력학습이 교사의 지지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학교와 교육 당국은 부모⋅자녀의 의사소통과 친구⋅교사의 긍정적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잠재계층의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프로그램 구안과 적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이를 위한 실제적 논의를 통해 학생들의 정서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효율적 전략 마련과 실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classes an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by sub-factors such as happiness, career maturity, creative personality, and citizen participation as emotional core competencies of talents with creativity-convergence. Methods Among the 3,000 students (cohort of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1st grade in middle school, and 1st grade in high school) who were selected in the first year of the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7),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urth-year studen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in 2020. The target marking was stratified sampling method, which divided Daegu Metropolitan City into eight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he schools in the area were tabulated wirelessly, and the number of schools in each target layer wa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target lay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High schools were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udents by dividing them into general, special-purpose, specialized, and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ir affiliation, and 979 boys (52.5%) and 897 girls (47.8%) A total of 1,876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emotional core competency measurement tool used a total of 49 questions related to happiness, career maturity, creative personality, and civic participation used in the longitudinal study of educat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were largely divided into individual (3 factors), family (5 factors), and school (5 factors) factors, and the question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was confirmed to be most appropriate when classified into three,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class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dividual factors,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very important effect on emotional core competencies. Second, in the family factor, communication with parents had the greatest influence. Third, in the school factor, support from friends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In particular, in the individual factors,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uperior effect on self-efficacy in the upper group compared to the overall lower group, and the support of friends and cooperative learning had a greater effect than the support of teachers. Conclusions Schools and educational authorit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friends and teachers, an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vise and apply customized program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nt classes. Efforts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and practice efforts to cultivate students' emotional core competencies should be continu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영주,김재철. (2023).창의융합형 인재의 정서 핵심역량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8), 1-14

MLA

노영주,김재철. "창의융합형 인재의 정서 핵심역량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8(2023): 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