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Data Liter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종근 김찬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8호, 525~53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리터러시를 강화한 R&E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해 봄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방법 수도권의 한 과학영재학교 1학년 학생 4명에게 개발한 R&E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학생들이 R&E 프로그램에서 겪는 어려움, 이를 극복해가는 과정과 데이터 리터러시의 기여에 초점을 두고 학생들의 연구 산출물, 학생 기록지, 참여 관찰 자료, 영상과 음성 자료, 면담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학생들은 R&E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데이터 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었으며, 스스로 연구 주제 도출 과정에서 부족하다고 생각했던 부분들을 보완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함양한 데이터 수집 및 조직 능력, 데이터 활용 및 분석 능력, 데이터 기반 의사소통 능력을 활용하여 데이터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았던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대한 궁금증을 문제화하여 연구 주제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자율적인 환경에서 과학자로서의 소양 함양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최근 강조되고 있는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에 초점을 둔 R&E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학생들에게 적용 후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새로운 교육 방법을 제안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데이터 리터러시가 중요할 뿐 아니라 이를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E program focused on data literacy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applying it to science gifted school students.
Methods The developed R&E program was applied to 4 first-year students of a science gifted school in the metropolitan area. We analyzed students' research output, student records, observation data, video and audio data, and interview data, focusing on the difficulties students face in the R&E program,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m, and the contribution of data literacy.
Results Students thought that they were able to cultivate data literacy while participating in the R&E program, and that they were able to compensate for what they thought was insufficien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research problem. Specifically, students were able to acquire information that was not directly revealed in the data by utilizing the data collection and organizational skills, data utilization and analysis skills, and data-based communication skills cultivated through the program, and develop questions about them into research problem.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ed an R&E program that focuses on cultivating data literacy, which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to find ways for students to effectively cultivate their knowledge as scientists in a self-directed environment. These attempts are meaningful in proposing new educational method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ata literacy is important as a way to adapt to a rapidly changing society, as well as the need for research on develop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cultivate th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협력적 문제해결 과제의 지시문 유형에 따른 팀 활동 내 언어적 상호작용, 성취도 및 만족도 분석
- 실직을 경험한 중년남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 특수교육 초등 수학과의 교과서 삽화 분석 연구
- Martin Seligman의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음악교육 방안
- 긍정언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와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 부사 ‘사실’의 주관성과 주관화 연구
- 가정폭력피해자의 회복적 대화모임 참여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대학생 디지털 시민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국내 연구동향
- 창의⋅인성 활동이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서 바라본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모델링 과제 분석
- 분노조절 능력으로서 정서적 유능성에 대한 도덕교육 방향 탐색
- 대학교 학생 상담센터 상담 전문직의 과학자-실무자 모델 역할 수행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초⋅중등 교원의 직무연수에 관한 실태 및 인식 분석
- 전문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초심 전문상담교사의 자기 성찰 향상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본 놀이상담에 대한 사회적 인식
- CEFR 단계에 따른 초등 교과서 및 학습자 어휘인지도 분석
- 중급상담자의 ‘정서전염’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 부부갈등, 부모 참여,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간 관계
- 미용업 종사자의 긍정적 자기개념과 스트레스 반응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다중매개효과 연구
-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생의 문제행동과 소진과의 관계
- 기업근로자의 인재우대, 무형식학습,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 연구
- 인문계열 대졸자의 기업 취업과정
- 유아 영어 강사들의 교수 동기 및 탈동기
- 중학생의 또래 괴롭힘의 영향요인 분석
-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교사의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경험
- 청소년 교수-학습경험의 잠재계층과 영향요인 및 성과분석
-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평가 기준 개발 연구
- AI를 활용한 발명영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대학생의 학업참여도와 학업성취도 관계 연구
- 성인 상담라포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예비 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기간 동안 SNS 멘토링(mentoring)의 과정 및 경험과 의미 탐색
- 근로 및 비근로 학습자 협업을 위한 심리스러닝 개발 및 적용 효과
- 초등학생의 나눗셈과 비례배분 포함관계 정당화 분석
- 어린이집 원장의 교사권리존중과 보육교사의 소진 및 자기개발욕구 간의 관계
- 은유 분석을 통한 유아기 자녀와 함께하는 놀이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 은유 분석을 통한 예비 유아 교사의 영아 관찰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예비 특수교사의 인식분석
- K-POP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적 강조 표현 교육 연구
- 데이터 리터러시를 강화한 R&E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PISA 2018 교사 설문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등교사들의 교사 전문성 계발에 대한 인식과 실천
- 학습자의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위한 구술평가 개발 및 실행에 관한 연구
- 창의융합형 인재의 정서 핵심역량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8호 목차
- 소규모학교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원 및 전문가 인식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