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교원양성기관에서 초임 시간강사의 교수 경험에 관한 셀프 연구

이용수 206

영문명
Self-study on teaching experiences of a newly appointed part-time instructor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ion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하혁(Ha hyu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9호, 227~24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교육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한 초임 시간강사의 교수 경험이라는 실질적인 맥락 안에서 나타나는 자아의 변화와 성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셀프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자이자 연구 대상인 ‘나’의 교수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교수 상황적 맥락에 대한 의미를 이야기로 전개해 나가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 수집은 반성적 일지, 개인적 기억 자료, 온라인 수업 녹화 영상, 강의 계획서, 학생의 강의 평가 등을 통해 질적 자료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 중 연구자의 반성적 일지를 토대로 주제 분석을 실시했다. 이후 개인적 기억 자료나 온라인 수업 녹화 영상 등 보조 자료를 추가하여 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세 가지 핵심 범주와 여섯 가지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핵심 범주 ‘수업의 근간이 되는 것들’, ‘수업을 명시하다’, ‘교육전문가로 나아가기’와 이의 하위 범주 ‘경험과 편견’, ‘교육적 신념’, ‘문제상황에 직면’, ‘수업 해체하기’, ‘가르치고, 배우며, 연구하는 시간’, ‘좋은 수업’를 통해 시간강사로서 개인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전개하였다. 결론 ‘나’의 시간강사로서의 교수 경험은 ‘나’ 스스로에 대한 성찰과 ‘수업’에 대한 성찰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나’에 대한 성찰의 과정으로 ‘나’의 과거 경험과 현재의 인식이 수업 활동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수업’에 대한 끊임없는 반성과 실천 그리고 변화는 좋은 수업을 지향하는 교수자로서의 필수적 자질이었으며, 이러한 경험은 교육전문가로서 성장하는 데 밑바탕이 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nges and the growth of a newly appointed part-time instructor in teaching experiences in order to take steps towards education expert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teaching experiences of ‘myself’ as a researcher and research subject was analyzed by using a self-research methodology. To develop the meaning of this teaching context into a story, narrative exploration was performe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used qualitative data through reflective diaries, personal memory data, online class recording videos, syllabus, and student lecture evaluation. Among the collected data,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earcher s reflective journal. After that,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adding auxiliary data such as personal memory data and online class recording videos. Through this analysis process, three core categories and six subcategories were derived. Results Narratives on the personal experiences as a part-time instructor were developed through the core categories of ‘Bases for lectures,’ ‘Specifying the aims of lectures,’ and ‘Taking a step towards education experts.’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ing experiences of ‘myself’ as a part-time instructor were divided into ‘myself’ reflection and ‘class’ reflection. And the experiences were the basis for growth as an education exper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교원양성기관에서 시간강사의 교수 경험에 관한 이야기
Ⅳ. ‘나’와 ‘수업’에 대한 성찰, 그리고 ‘성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혁(Ha hyuk). (2022).초등 교원양성기관에서 초임 시간강사의 교수 경험에 관한 셀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9), 227-242

MLA

하혁(Ha hyuk). "초등 교원양성기관에서 초임 시간강사의 교수 경험에 관한 셀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9(2022): 227-2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