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폭력 피해경험자의 외상 후 성장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494

영문명
An autoethnography of post-traumatic growth experience from a sexual assault survivor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윤규미(Yoon, Gyu-mi) 김명찬(Kim, Myeung-cha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9호, 463~48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15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성폭력 피해경험자의 삶을 깊이 이해할 수 있으며, 외상 후 성장에 대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일기자료, 자기성찰 과제자료, 성찰을 목적으로 쓰는 카페 게시글 자료, 회상자료, 면담 축어록 자료, 가족 인터뷰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코딩은 삶의 여정을 탐구하는 종단적인 질적 연구방법에 적합한 종단적 코딩방식을 사용하여 연구자인 ‘나’의 어린 시절부터 현재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감정코딩과 가치코딩으로 해석을 시도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 과정은 삼각검증법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성폭력 피해경험으로 모든 것이 ‘수치스러운, 너무나 수치스러운’, 둘째는 불안과 무력함으로 ‘아픈지도 모르고 아팠던 어린 시절’, 마지막으로 선명해지는 존재를 느끼며 미래를 기대하는 ‘성장하고픈 나’로 주제를 도출하였다. 결론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경험자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돕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들의 성장을 조력하기 위해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가 속해 있는 가부장제 속에서 성폭력을 이해하고,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자문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research aims to achieve a deep analysis of post-traumatic growth with sexual abuse experience. It also focuses to navigate the narrative with the sexual abuse experience and establish a guideline for understanding the life of a sexual assault survivor. Methods While using autoethnograph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paper analyzed diary records, self-examination data, online postings, retrospection data, verbatim records, and family interview data. It used the longitudinal coding method, which is suitable for researching the journey of life. The author analyzed materials as the flux of time from juvenile to present. She interpreted them using emotional coding and value coding. She also used triangulation to acquire reliability and validity in process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Results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the author felt everything was ‘ashamed, too ashamed’ due to the experience of sexual abuse. Secondly, she went through all ‘unnoticeable pain in childhood’ with anxiety and helplessness. Lastly, she built a ‘desiring self of growth’ with clear self-recognition and future expectations. Conclusions The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giving deepen understanding of people who experienced sexual assault. It also highlighted that sexual assault is not an individual problem but a structural problem in our patriarchal society. The study tried to raise the issue of introspection for readers to support the growth of “sexual assault experienc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규미(Yoon, Gyu-mi),김명찬(Kim, Myeung-chan). (2022).성폭력 피해경험자의 외상 후 성장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9), 463-486

MLA

윤규미(Yoon, Gyu-mi),김명찬(Kim, Myeung-chan). "성폭력 피해경험자의 외상 후 성장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9(2022): 463-4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