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과정의 방향과 교사의 미래

이용수 1032

영문명
The Direction of Curriculum and the Future of Teacher in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ooking for the Identity of Primary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채형(Park Chae-hye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5호, 1~1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과정의 방향과 교사의 미래를 초등교육의 정체성을 염두에 두고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4차 산업혁명을 화두로 등장시킨 Schwab의 문헌을 비롯하여 세계경제포럼의 아젠더 및 OECD와 UNESCO의 각종 보고서에 지적된 사회의 변화와 미래의 역량을 적극적 논의와 소극적 논의로 양분하여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제4차 산업혁명이 초래할 사회의 변화는 미래의 역량에 관한 논의를 2가지 방향으로 이끌고 있다. 미래의 사회에 걸맞은 새로운 역량을 내세우는 것이 한 가지 방향이라면, 다른 한 가지 방향은 새로운 역량이 기존의 역량을 넘어서지 못한다고 지적하는 것이다. 사회의 변화와 미래의 역량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이러한 적극적 논의와 소극적 논의는 그대로 교육에 관한 담론으로 이어지고 있다. 기존의 교과 기반 교육과정을 역량 기반 교육과정으로 변화시키고 교사의 역할도 그것에 일관되게 선회시키는 논의와 함께 거기에 깔려있는 난점을 지적하면서 기존의 교육과정과 교사의 근본적인 역할을 뒤돌아보는 논의가 바로 그 담론이다. 결론 제4차 산업혁명에 관한 우리나라 교육학계의 논의는 오늘날 그러한 긴장관계 속에서 펼쳐지고 있지만, 초등교육의 정체성은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이나 그것에 일관된 기존의 시각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교육과정과 교사에 관한 소극적 논의에 귀를 기울이는 가운데 적극적 논의를 가미하는 방향에서 확립될 필요가 있다. 초등교육의 정체성을 그러한 방향에서 확립하는 것은 제4차 산업혁명이 지향해야 할 인간 중심의 정신을 구현하는 근본적인 방안으로 지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direction of curriculum and the future of teacher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looking for the identity of primary education.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I revealed social change and future capabilities divided into active and passive perspective analyzing various literature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K. Schwab s famous book, Agenda of the World Economic Forum, OECD and UNESCO s reports on it. Results The social changes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rings about are leading the discussion on core competencies in two directions: to put forward new competencies that fit into future society and to point out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new competencies and existing ones. These active and passive discussions surrounding changes in society and future competencies continue to discourse on future education. There is an active discussion that the existing curriculum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hat the role of teachers should be shifted consistently to it. Pointing out the difficulties underlying in active discussion, the passive discussion of looking back on the existing curriculum and the fundamental role of teachers follows them defensively. Conclusions The discussions of educational societies of Korea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unfolding amid such tension today. But the identity of primary education seems desirable to be established in a way that adds active discussions while listening to passive discussions on curriculum and teachers, as Germany’s Industrie 4.0 and its consistent views.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primary education in such a direction would be fundamental way to embody the humanism which has been pursuing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목차

Ⅰ. 서론
Ⅱ.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의 사회
Ⅲ.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의 역량
Ⅳ. 교육과정의 방향과 교사의 미래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채형(Park Chae-hyeong). (2022).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과정의 방향과 교사의 미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5), 1-17

MLA

박채형(Park Chae-hyeong).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과정의 방향과 교사의 미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5(2022): 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