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감성지능, 자기효능감과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1188

영문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compet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성희(Lee, Seong-Hee) 김희동(Kim Hee D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5호, 737~75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관계 모형의 적합성을 살펴보고, 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성, 감성지능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편의 표집 방식을 활용하였고, 전라북도 지역에 재학증인 대학생 26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대상자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이 직접 온라인(구글닥스)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를 제작할 때 모든 문항에 반드시 응답한 후에 다음 문항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설정하여 탈락률은 없었고, 총 260명의 대상자가 응답하여 수집된 자료 26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의사소통능력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감성지능은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능력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은 매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을 살펴본 점과 대인관계 유능성과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관계적 역량보다 자기인식 역량이 영향을 미치며, 온라인상으로도 의사소통능력을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의 사회생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자기인식역량 필요성에 대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suitability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compet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and verifies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self-efficacy variables. Methods For convenience sampling, 26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Jeollabuk-do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er directly explained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to the subjects, and the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irectly responded to the online (Google Docs) questionnaire. When preparing the questionnaire, it was set to proceed to the next question after all questions were answered, so there was no dropout rat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Results The structural model among the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compet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as confirmed to be appropriate. Emotional intelligence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no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s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ollege student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program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using online in non-face-to-face situations was confirme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lay the foundation for the need for self-awareness competency so that college students can actively cope with social lif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희(Lee, Seong-Hee),김희동(Kim Hee Don). (2022).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감성지능, 자기효능감과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5), 737-752

MLA

이성희(Lee, Seong-Hee),김희동(Kim Hee Don).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감성지능, 자기효능감과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5(2022): 737-7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