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학생을 위한 동영상 강의(K-MOOC) 담화 분석 연구

이용수 456

영문명
A Discourse Analysis of Video Lectures(K-MOOC) for International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성해(CHO, SungHa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5호, 227~24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학생을 위한 동영상 강의 담화를 분석하여 일반적인 듣기와 다르면서, 전통적인 교실 수업과도 다른 동영상 강의 담화의 장르적 특질을 탐구하는 데에 있다. 방법 K-MOOC 교양 강좌 15편이 무선 표집으로 선정되었고, 2020년 10월부터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제공된 강의 영상 대본이 수집되어 Jefferson 전사 체계에 따라 수정되었으며, NVivo 12 Plus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 실시간 수업과 차이를 보이는 동영상 강의 담화 구조, 거시적⋅미시적 담화 표지와 기능별 세부 유형들, 구조 이해와 예측을 돕는 담화 조직어, 주요 정보를 표시해 주는 강조 수단, 학습자의 이목을 끌고 참여를 촉진시키는 질문의 상호 작용적 기능, 파워포인트와 신체 언어 등 비언어적 수단이 보고되었다. 결론 강의 듣기 교육에 적용 방안을 논하였으며 웹 기반 교수 학습에서 유의할 점, 특히 강의 담화 구조와 그것을 예측하게 해 주는 담화 표지와 담화 조직어의 유용성, 담화 구조 파악과 들을 내용 예측, 주요 정보 식별의 수단으로써 어휘 교육의 중요성, 강의 듣기와 읽기 혹은 강의 듣기와 쓰기를 통합한 교수의 필요성이 논의되었고, 웹 기반 강의를 위한 교사 교육이 강조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course features of video lecture genre that are different from general listening situation and traditional classroom lessons by analyzing video lecture discour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Methods 15 lectures were randomly sampled.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to December 2020, the provided transcripts of video lectures were collected, and retranscribed using the Jefferson transcription system. The data were analyzed employing NVivo 12 Plu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scourse structure of video lectures different from real-time classes, macro and micro discourse markers and their detailed types, discourse organizing words to help understand and predict structures, emphasis means to mark key information, interactive functions of questions to attract learners attention and promote participation, and non-verbal means such as power point and body language, were reported.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educational application to lecture listening was suggested. Points to note in web-based teaching and learning, in particular, structures of lectures, the usefulness of the discourse markers and discourse organizing words to predict it,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as a mean of identifying discourse structure, predicting contents, and identifying key information, and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listening and reading, or listening and writing were discussed, and the need of teacher education for web-based lectures was argu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K-MOOC 강의 담화 분석 결과
Ⅴ. 교육적 적용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성해(CHO, SungHai). (2022).유학생을 위한 동영상 강의(K-MOOC) 담화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5), 227-243

MLA

조성해(CHO, SungHai). "유학생을 위한 동영상 강의(K-MOOC) 담화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5(2022): 227-2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