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도사 가람 배치의 변화와 의미

이용수 1054

영문명
The change in and the meaning of the layout of Tongdosa temple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이철헌(Lee Cheol-heo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12호, 15~3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축산을 뒤로 하고 산자락에 남향으로 지어진 통도사는 전통적으로 세 구역으로 나누었다. 진리의 부처님인 비로자나불을 모신 대광명전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응화신으로서 역사적인 부처님이 설법하시는 영산전을 그리고 오른쪽에는 석가모니불의 입멸후 수행의 결과로 얻어진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을 각각 남향으로 배치함으로써 통도사는 3원 체제의 사찰로 창건되었다고 말한다. 이럴 경우 통도사의 3원제에서 중심을 차지하고 가장 북쪽에 위치한 곳이 대광명전이다. 자장은 율사이면서도 화엄사상가였기에 비로자나불을 모신 대광명전을 중심으로 통도사를 창건했다. 고려가 시작되어 수도가 개성으로 옮겨지면서 통도사가 위치한 양산은 수도권에서 멀어지면서 불교 활동의 중심지도 개성으로 옮겨갔다. 창건이후 특별한 활동이 없었던 통도사는 고려 중기에 들어와서 왕실의 지원을 받아 불교계의 주요사원으로 부각되고 남산종을 영도하는 위치로 부상한다. 왕실과 통도사를 연결시켜 준 매개는 왕실의 권위를 뒷받침해 주는 불사리신앙이라 할 수 있다. 고려 후기 지공(指空)이 통도사에 들어와 선(禪)과 계율을 설법한 이후 통도사는 위상이 크게 높아졌다. 1305(충렬31)년부터 1369(공민18)년까지 통도사에는 일주문ㆍ천왕문ㆍ불이문을 비롯해 많은 건축물들이 창건되는데 이는 통도사의 가람배치를 새롭게 이해하는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된다. 가장 먼저 사찰 출입이 남북에서 동서로 바뀌면서 통도사의 중심이 대광명전이 아니라 사리전이 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전소되다시피 한 통도사를 사명유정((四溟惟政, 1544∼1610)이 중창을 지시했고 이후 우운진희(友雲眞熙)에 의해 통도사는 재건하게 된다. 조선시대 통도사는 가람단ㆍ산령각ㆍ삼성각 등을 지어 백성들의 다양한 신앙형태를 받아들였다. 신도들에게 금강계단은 계를 주는 장소에서 부처님진신사리를 모신 사리탑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 승려들은 화엄(華嚴)ㆍ선(禪)ㆍ천태(天台)ㆍ정토(淨土)ㆍ율(律) 등을 수학하여 총림으로 자리 잡게 된다.

영문 초록

Tongdosa temple, built in front of Mt. Youngchuk facing the south, was traditionally divided into three zones. The temple was founded as a ternary temple with Daegwangmyeongjeon serving Vairocana, the Buddha of Truth, at the center; Youngsanjeon symbolizing Eunghwashin, the historical Buddha, on the left; and the Geumgang Ordination platform enshrining Buddha’s sarira, obtained as a result of the practice after the death of Sakyamuni Buddha, on the right, each of them facing the south. Daegwangmyeongjeon, at the center of Tongdosa temple, was located in the northernmost part. Monk Jajang, a Yulsa and Avatamska philosopher, founded Daegwangmyeongjeon. As Goryeo began, the capital was relocated to Gaeseong. Yangsan, where Tongdosa was located, moved away from the metropolitan area; the center of Buddhist activities instead moved to Gaeseong. Now in the middle of Goryeo, Tongdosa, which held no special activities since its founding, emerged as a major Buddhist temple leading the Namsan sect with the support of the royal family. The medium that connected the royal family and Tongdosa was Buddha’s sarira faith that supported the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After Monk Jigong (指空) entered Tongdosa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 and preached Zen (禪) and religious precepts (戒律), the status of Tongdosa got elevated. From 1305 (Chungryol 31) to 1369 (Gongmin 18), many buildings were established in Tongdosa, including Iljumun, Cheonwangmun, and Bulimun. This wa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newly explore and understand the layout of Tongdosa temple. First, as the entrance to the temple was changed from north to south to east to west, Sarijeon became the center of Tongdosa, not Daegwangmyeongjeon. Then, Monk Samyung Yujeong (四溟惟政) ordered the reconstruction of Tongdosa temple, which was burned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temple was rebuilt by Monk Uun Jinhee (友雲眞熙). During the Joseon Dynasty, Garamdan, Sanryeonggak, and Samseonggak were built in Tongdosa and accepted people from various forms of faith. Believers recognized the Geumgang Ordination platform as a sarira stupa which enshrined Buddha’s sarira from a place that gave Buddhist commandments. To monks, Tongdosa was known as a Chonglim studying Avatamska (華嚴), Zen (禪), Tiantai (天台), a pure land (淨土), and commandments (律).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초창기 가람배치
3. 고려후기 가람배치
4. 조선전기 가람배치
5. 조선후기 이후 가람배치
6. 맺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철헌(Lee Cheol-heon). (2020).통도사 가람 배치의 변화와 의미. 문화와융합, 42 (12), 15-39

MLA

이철헌(Lee Cheol-heon). "통도사 가람 배치의 변화와 의미." 문화와융합, 42.12(2020): 15-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