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학 교원 대상 1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이용수 921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faculty in the post-COVID-19 era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저자명
- 한송이(Han Songlee) 이가영(Lee Gayoung)
- 간행물 정보
- 『문화와융합』제42권 12호, 583~61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학 교원이 스스로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미디어 창작 역량을 포함한 미디어 리터러시가 중요해 지고 있다. 하지만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은 교원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증진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원의 요구를 반영하는 동시에 교원의 미디어 창작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에 있으며 이를 위해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총 교수자의 수준을 3단계(초급, 중급, 고급)로 구분하여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 전문교육, 하드웨어 교육. 소프트웨어 교육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단편적·일회적인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체계적이고 단계별로 구성되어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각 대학이 보유하고 인적·물적 자원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 대학의 상황에 맞게 이를 변형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As the role of university professors in designing and operating online classes on their own is gaining importance, media literacy capabilities, including media creation, are becoming a significant competency that university professors should possess. However, university educational programs containing media literacy have limitations in improving this competency.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professors’ media competency and reflect its necessity. Thus, it uses a rapid prototype development methodology. The developed program comprises three levels;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and the content of the program includes specialized training as well as hardware and software training.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structured in a systematic and step-by-step manner rather than as a one-off program. However, since th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of universities vary, this program must be adapted and applied according to each specific situ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4년제 대학교의 전자음악 커리큘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대학의 상생을 위한 공유성장형 교육플랫폼 사례 연구
- 경주 지역 산이름 연구
- 학업중단 학생의 특성과 대학생활만족의 영향관계 탐색
- 대전 오월드 비대면 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 2000년대 영웅서사의 특징과 변모 양상
- 카뮈의 『이방인』, 내부로부터의 탈식민주의
- 량치차오(梁啓超)의 합방과 조선 ‘국망(國亡)’에 대한 인식
- 남북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드러난 집단 커뮤니케이션 양상
- 한류 K-pop 공연 인식도, 관람만족도, 관람결정요인 영향 연구
- 문학공간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신화와 의례에 나타난 전염병의 치병
- Y세대 소비자의 소비 특성에 따른 개인 지향적 소비동기와 명품 구매행동 연구
- 웹 2.0 시대 아티스트 음악홍보마케팅 활동이 성인의 대중음악 구매증진에 미치는 영향
- 유튜브 게이밍 콘텐츠의 스토리 월드 연구
- 엘리자베스 펠프스의 금주 소설을 통해 본 금주 운동의 의의
- 김준태의 ‘불이(不二)의 시학’에 관한 시론(試論)
- 금전초 추출물의 피부장벽 강화 및 보습능 평가
- 의암별제가무가 가진 교방문화유산으로서의 인류무형문화유산적 가치
- 관광활동과 우울감
- 이탈리아 미래주의와 예술의 장르 해체
- 역사적 진실과 자기기만 사이의 글쓰기
- 경계선 발달장애인을 위한 ICT 기반의 의사소통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학 교원 대상 1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 기형도 시의 비극성과 부정성 연구
-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콘텐츠 제작 연구
- COVID-19 상황에서 전면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학과 신입생들의 사회심리적 건강, 회복탄력성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계
- 고조선 건국신화와 난생신화의 연관성 연구
- 광고 음악을 위한 사운드 브랜딩 프로세스 모델 연구
- 미디어아트와 감시사회
- 명상의 효과에 대한 평가 및 그 속성
- 인문(人文)의 시발(始發)로써의 『주역(周易)』, 그 기능과 현대적 가치
- 잠재적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본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교재 연구
- 중국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창작 이념과 내용의 변천에 관한 연구
-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사랑의 요소에 관한 연구
- 한국어 예비교사 발화 연구
- 20대 여성의 신체상 왜곡과 신체불만족에 관한 연구
-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개발연구
- 통도사 가람 배치의 변화와 의미
- 대중가요 작곡가 백영호의 작품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