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북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드러난 집단 커뮤니케이션 양상

이용수 113

영문명
Group Communication Aspect brought out in the Korean textbooks of North and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s : Focusing on the activity analysis of first grade Korean textbooks of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s and first grade textbooks of North Korean element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윤정(Kim Yune Ju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12호, 843~87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연구는 집단 커뮤니케이션 이론, 비고츠키의 공간모형과 커뮤니케이션 프라이버시 관리 이론을 활용하여 남북한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 드러난 집단 커뮤니케이션의 양상과 그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고츠키의 공간모형 Ⅰ영역은 교사의 언어 사용 전략, 개념 안내에 대한 학습의 수용 과정이 진행된다. Ⅱ영역은 학습자가 새로 학습한 언어 사용 전략, 개념, 아이디어를 기존 전략, 개념, 아이디어와 조합하는 ‘변형 과정’이 진행된다. Ⅲ영역은 학습자가 수용하고 변형한 반응을 공적으로 드러내는 ‘공개 과정’이 진행된다. Ⅳ영역은 교실 담화 공동체 구성원들이 공동체 담화 관습을 익히는 ‘관습화 과정’이 진행된다. 분석 결과 남한의 1학년 국어 교과서에는 1, 2영역과 같이 인지적, 내적인 것, 비공개적이며 개인적으로 할 수 있는 활동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북한의 활동들은 2, 3영역에 주로 속해 있었으며 개인의 능력이 직접 관찰 가능한 공개된 활동들이 많았다. 또한, 북한 국어 교과서에는 남한 교과서보다 집단주의적 성격을 띠는 활동들이 다수 제시되고 있었다. 본연구는 향후 남북 집단 커뮤니케이션의 이질화를 분석하고 통일 국어 교과서 개발 논의에 기초자료로서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group communication in the activities of first grade Korean textbooks of North and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s by using group communication theory and Vygotsky’s spatial model. In area I of Vygotsky’s Spatial Model,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teacher’s learning, language use strategy, and concept guidance is conducted. In area Ⅱ, a “transformation process” is conducted, in which the learner uses a newly acquired language use strategy, concept, and idea along with the existing strategies, concepts, and ideas. In area Ⅲ, a “public process” is conducted, in which the learner accepts and transforms the reaction publicly. In area Ⅳ, the “conventionalization process” is conducted, in which the members of the classroom discourse community learn about the community discourse custom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out that South Korea’s first grade Korean textbooks consist of cognitively internal things, and private and personal activities as outlined in areas I and Ⅱ. North Korea’s activities primarily belonged to the Ⅱ and Ⅲ areas, and there were many publicly available activities that carried personal observability. Further, in North Korean textbooks, there were activities involving relatively collectivist characteristics. This study carries the significance of acting as basic data that can be helpful in analyzing the heterogeneity of inter-Korean collective communication and discussing the development of a unified Korean textbook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정(Kim Yune Jung). (2020).남북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드러난 집단 커뮤니케이션 양상. 문화와융합, 42 (12), 843-873

MLA

김윤정(Kim Yune Jung). "남북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드러난 집단 커뮤니케이션 양상." 문화와융합, 42.12(2020): 843-8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