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예비교사 발화 연구

이용수 382

영문명
A study of Korean pre-service teachers’ utterancess in simulated lesson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나은선(Lah Eunsu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12호, 913~93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예비교사 8명의 모의수업을 녹음 또는 녹화하여 예비교사 발화를 전사하였으며 전사 자료를 분석하여 예비교사 발화에서 사용된 어휘, 문법 항목의 빈도와 예비교사 발화에 나타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예비교사 발화에서 나타난 어휘, 문법 사용의 빈도는 예비교사 8명의 발화에서 많이 나타난 1) 구어적 표현 ‘-구요’, ‘얘’, ‘요게’, 2) 의문형 ‘–나요?’, ‘-(으)ㄹ까요?’, 3) 문법항목 ‘인용표지’, ‘-도록’, ‘-(으)ㄹ 때’, ‘-(으)ㄹ게요’의 사용 빈도를 살펴보았는데 사용 빈도에서는 예비교사에 따라 차이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 발화에 익숙하지 않아 개인 발화 습관이 많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예비교사 발화에 나타난 문제점을 어휘와 문법 사용의 문제와 담화의 문제로 나누어 보았는데 어휘와 문법 사용의 문제는 1) 구어적 표현, 2) 의문형, 3) 학습하지 않은 어휘와 문법 사용의 문제로 분류해서 살펴보았으며, 담화의 문제로는 1) 호칭, 2) 간결한 발화, 3) 표현 방법, 4) 교사의 긴 단독 발화의 문제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와 예비교사를 교육하는 교사에게 한국어 교실에서 교사 발화시 주의해야 할 점을 간략하게나마 보여 준다는데 의의를 둔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simulated lessons of eight Korean pre-service teachers were recorded and their utterance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use of certain vocabulary and grammar items and the problems appearing in their utterances. The following commonly used vocabulary and grammar item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1) the colloquial expressions -구요, 얘, and 요게; 2) the interrogative forms –나요? and -(으)ㄹ까요?; 3) and the grammatical elements of quotation words, -도록, -(으)ㄹ 때, and -(으)ㄹ게요. In terms of frequency of use, there were differences for all pre-service teachers, which seem to reflect individual habits, suggesting that they are not familiar with teachers’ utterance. The problems appearing in pre-service Korean teachers’ utterance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problems of vocabulary and grammar use and problems of discourse. The problems of vocabulary and grammar use were further classified as the use of 1) colloquial expressions, 2) interrogative forms, and 3) unlearned vocabulary and grammar, while the problems of discourse were classified as the use of 1) address forms, 2) concise utterances, 3) ways of expression, and 4) long single utteran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howing pre-service teachers and the teachers who train them what they should attend to when speaking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교사 발화의 특성
4. 분석 대상 및 분석 방법
5. 예비교사 발화에 나타난 문제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은선(Lah Eunsun). (2020).한국어 예비교사 발화 연구. 문화와융합, 42 (12), 913-938

MLA

나은선(Lah Eunsun). "한국어 예비교사 발화 연구." 문화와융합, 42.12(2020): 913-9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