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습부진으로만 인식된 학습장애 학생의 학습경험과 의미

이용수 1362

영문명
The Learning Experience and Meaning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Only Recognized as an Underachiever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태곤(Cho Tae-Gon) 김용욱(Kim Yong-Woo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9호, 97~12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0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학습장애 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습장애 학생 수 감소의 이유 중 일부는 학습부진 학생 중에서 학습장애의 특성이 있으면서도 학습장애로 진단되지 못함에 있을 수 있다. 비장애 학생 위주로 형성된 일반학교의 학습 구조에서는 장애를 가지거나 혹은 그 위험성이 있는 학생들은 불평등한 학습경험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학습부진으로만 인식된 진단되지 않은 학습장애 학생이 교실에서 어떤 학습경험을 가지고 있을지에 대한 궁금증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연구는 학습부진으로만 인식된 학습장애 학생의 교실 속 학습경험과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관찰, 면담, 인공물(문서)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다양한 질적 자료 분석 방법(1·2차 주기 코딩, 지속적 비교·분석법, 낯설게 하기 등)에 따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는 사실적/전통적 글쓰기 방식과 시적 글쓰기 방식을 활용하여 진술하였다. 그 결과 학습부진으로만 인식된 즉, 진단되지 않은 학습장애 학생이 겪은 교실 속 학습경험과 의미는 6개의 대범주(수업에 참여하는 학습경험, 수업에서 소외되는 학습경험, 학습의 어려움을 감추는 경험, 학습에 있어 우선해야 할 것, 동등성의 딜레마와 교사의 한계, 개인이 성장하는 학습으로의 전환)와 16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에 있어 우선해야 할 것으로 정서적 안정과 개별지도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정서적 안정과 개별지도는 동등성의 딜레마와 교사로서의 한계로 인해 항상 이루어질 수 없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개인이 성장하는 학습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statistics has showed that the number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s steadily getting reduced. However, some reductions of prevalence i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may have been due to non-diagnosis of students with potential learning disabilities. In a learning structure centered on non-disabled students, students who have or are at risk of having a disability are more likely to have unequal learning experiences. So, this study was began from the question about what and how learning experiences students with non-diagnosis learning disabilities only recognized as an underachiever would receive in the classroo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about the learning experience and meaning of students with non-diagnosis learning disabilities only recognized as an underachiever. To achieve research results, observations, interviews, and related artifact (docu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various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made up based on the descriptive / traditional writing method and the poetic writing metho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6 major categories and 16 subcategories. And researcher found emotional stability and individual guidance that should be first things to do in learning. However, emotional stability and individual guidance are not always possible due to the dilemma of an equivalent and limit of teachers. So, in order to overcome these, it is necessary for transition to learning for personal growt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태곤(Cho Tae-Gon),김용욱(Kim Yong-Wook). (2020).학습부진으로만 인식된 학습장애 학생의 학습경험과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9), 97-126

MLA

조태곤(Cho Tae-Gon),김용욱(Kim Yong-Wook). "학습부진으로만 인식된 학습장애 학생의 학습경험과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9(2020): 97-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