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 유형과 주관적 안녕에 관한 연구

이용수 387

영문명
The patterns of school adaptation during the middle school transition period and subjective well-be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미진(Mee Jean Kim) 김경은(Kim, KyoungE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9호, 1071~109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0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 유형을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탐색해보고, 성별과 경제소득에 따라 학교적응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학교적응 유형에 따라, 주관적 안녕(삶의 만족도, 우울, 사회적 위축)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자료 중 전환기를 경험한 중학교 1학년 청소년 1,57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군집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적응 하위요인에 기초한 2단계의 군집분석 결과, 다섯 가지 군집유형(부적응형, 교사중심형, 학습부진형, 학습중심형, 학교친화형)이 확인되었다. 둘째, 다섯 가지 군집유형에 따른 성별 차이는 없었으나, 경제소득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다섯 가지 군집유형에 따른 주관적 안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학교적응 군집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주관적 안녕의 차이를 이해함으로써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입전략을 제시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였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school adaptation during the middle school transition period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gender and economic income. Also, the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by the patterns of school adaptation were explored.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Participants were 1,75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a transition period. The cluster analysis and ANOVA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patterns of clusters (inadequate, teacher-centered, poor learning, learning-oriented, and school-friendly)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in the second stage based on school adaptation sub-factors.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profiles according to gender,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profiles by economic income.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school adjustment profile. These findings provided useful data for setting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could help youths adapt to school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as well as promot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yout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진(Mee Jean Kim),김경은(Kim, KyoungEun). (2020).중등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 유형과 주관적 안녕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9), 1071-1092

MLA

김미진(Mee Jean Kim),김경은(Kim, KyoungEun). "중등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 유형과 주관적 안녕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9(2020): 1071-10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