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과 사회 과목을 연계한 통합학문

이용수 357

영문명
Integrating Art and Sociology: Meaning Making through Drawing Living Plac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인성(Cho In Se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9호, 151~18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0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미술작품을 통해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어린이의 미술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해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 하에 초등학교 3학년 23명의 학생들이 2018년 12월 한 달 동안 매주 수요일 1~2교시 총 8차시 미술 시간에서 수집된 장소 그림에 대한 사례연구가 실시되었다. 장소 그리기를 한 학생들의 작품에 반영된 의미 있는 장소와 장소 안에서의 삶의 모습 및 양상을 분석하고 해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학의 한 분야인 지리에서 사용하는 개념인 장소, 비장소, 재현 공간이라는 세 가지 용어를 차용하여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의미 있는 장소에는 집, 여행지, 비밀 장소 등이 확인되었다. 학생들에게 있어 의미 있는 장소는 그들 각자의 직접적인 경험에서 유래한 것이다. 학생들의 그림과 사진의 장소 이미지에서는 장소의 현장 또는 물질성을 파악할 수 있었고 그들의 장소 활동지에서는 구체적인 장소의 위치를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 저마다 추구하는 장소의 의미를 자아 동일성 또는 정체성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학생들이 그린 의미 있는 장소 그리기를 통해 미술과 지리를 통합한 본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학생들의 장소적 삶의 방식과 문화를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자신들이 그린 장소를 통해 일상생활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장소감, 특히 장소를 통하여 삶의 의미를 파악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의미 있는 장소 그리기 활동은 장소 안에서 타자와 관계 맺기를 함으로써 자아의 믿음을 형성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궁극적으로 타자와 상호작용하는 사회의 일원으로서 삶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ulture through their drawings and, at the same time, to analyze and interpret children s art from a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case study was conducted of 23 students in the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gathered at a total of 8 art classes for 1 to 2 classes every Wednesday during the month of December 2018. In order to analyze and interpret meaningful places and looks and aspects of life reflected in the drawing works of students who drew places, study adopted 3 terms of place, non-place and reenactment place, which were categorized into places, non-places and spaces of reenact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homes, travel destinations and secret spaces were identified as meaningful places for students, which stemmed from students’ own experiences. The place images of the students drawings and photographs demonstrated the locations or materiality of the places and the meanings of the places each student pursues could be understood as self-identification or self-identit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educational practice which integrates art and sociology, specifically geography through students’ drawing of meaningful plac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possible to comprehend the mode and culture of students lives in places. Second, students give meanings to daily life through the places they drew. Third, students understand meaning of live through the sense of place, especially living places. Finally, the activity of drawing meaningful places shapes self-confidence by relating the students with others in places. Through this, students understand the meaning of life ultimately as a member of society who interacts with others.

목차

Ⅰ. 서 론
Ⅱ. 아동 미술의 의미와 특징
Ⅲ. 장소 그리기를 통한 의미 만들기 활동
Ⅳ. 학생들의 장소 이미지의 의미
Ⅴ. 장소 그리기를 통한 의미 만들기: 교육적 시사점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인성(Cho In Seong). (2020).미술과 사회 과목을 연계한 통합학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9), 151-180

MLA

조인성(Cho In Seong). "미술과 사회 과목을 연계한 통합학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9(2020): 151-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