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악과 언어의 융합

이용수 601

영문명
The Convergence of Music and Language: The Narratives of Beethoven’s Piano Trio Op. 70, No. 1.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박주향(Park Joohya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1권 5호, 225~25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0.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가 음악에 대해 이해한 것을 분명하게 표현하고자 할 때, 우리는 필연적으로 언어라는 매체를 이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음악은 어떠한 내러티브의 형식같이 체계적으로 조직되어있다는 것을 전제로 문학비평영역에서 빌려온 다양한 내러티브 방식을 음악작품에 적용하여 연구될 수 있다. 본 논문은 19세기 대표적인 조성음악 중 하나인 베토벤의 피아노 트리오 op. 70 No. 1의 내러티브 구조에 관해 논의한다. 내러티브는 시간의 흐름 속에 한 사건의 연속들을 말해준다는 정의에서 출발함으로써 문학 작품 이외의 영역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베토벤의 피아노 트리오 Op.70 No.1은 언어로 표현된 텍스트가 없고, 표제적이지 않은 곡으로 겉보기에는 내러티브로 여기기에 적절하지 않다는 점에서 내러티브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내포한다. 베토벤은 감상자에게 익숙한 규칙을 토대로 만들어진 기대감을 자주 벗어나 곡을 진행시킨다. 각각의 악장은 중심 선율 또는 화음 진행의 구상에 따라 전개되지만, 동시에 이러한 구상에 의해 세워졌던 기대감들로부터 이탈한다. 작품은 조성음악의 양식화된 언어 속에서 작품의 전체 흐름에서 벗어나는 불확실한 순간들 - 우리는 이런 순간들을 중요한 사건들로 인식한다- 을 생산해낼 수 있다. 예측하지 못한 사건들에 대해 우리가 주목하고 곡이 진행되는 동안 구조적 이탈들을 해석해 나가면서 우리가 피아노 트리오를 어떻게 감상해야 하는지에 대한 모습을 구체화 시킨다. 이처럼 내러티브는 감상자에 의해 형성된다. 감상자가 사건의 배열 속에서 그 속에 지닌 중요한 의미를 인식할 수 없다면, 그것은 내러티브가 될 수 없다. 본 연구는 성악곡 또는 표제 음악과는 다르게 텍스트가 전혀 없는 순수 기악곡 즉, 한슬릭이 명명한 절대음악을 내러티브와 연관시켜 살펴봄으로써 소리 자체에 담긴 의미를 발견하고 해석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When we want to clearly express what we understand about music, we inevitably use the medium of language. For this reason on the premise that music is organized systematically, like any narrative form studies can be conducted applying various narrative methods borrowed from literary criticism to musical works. This paper discuss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Beethoven’s piano trio Op. 70, No. 1, one of the representative compositions of 19th century music. Narrative can be applied in areas other than literary works, starting with the definition of telling a series of events in the passage of time. Beethoven’s piano trio Op. 70, No. 1 contains no text expressed through language, and looking at it from a narrative perspective indicates that as a non-titled work it is unlikely to be appropriate to consider it a narrative. Beethoven often progresses the song by avoiding expectations based on rules that are familiar to the audience. Each movement develop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central melody or chord progression, while simultaneously deviating from the expectations established by this concept. The work can produce uncertain moments in the stylized language of the musical composition, which we recognize as important events, straying from the overall flow of the work. We notice unforeseen events and interpret the structural deviations during the work, embodying how we should appreciate the piano trio. In this way, the narrative is formed by the audience. If the audience cannot recognize the significance in the arrangement of events, it cannot be a narrative. This study suggests alternatives to discovering and interpreting the meaning contained within the sound by examining pure instrumental music without text, namely, Hanslick’s concept of absolute music, unlike vocal or title musical compositions.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주향(Park Joohyang). (2019).음악과 언어의 융합. 문화와융합, 41 (5), 225-250

MLA

박주향(Park Joohyang). "음악과 언어의 융합." 문화와융합, 41.5(2019): 225-2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