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에서 학습공동체에 관한 학습자 인식 사례 연구

이용수 262

영문명
A Case Study on Learner Awareness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College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박혜진(Hye-jin Park) 차승봉(Seung-bong Cha)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1권 5호, 371~40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0.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협력학습 체제인 학습공동체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공동체 활동으로 인해 나타나는 학습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충청북도 소재 A대학의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운영한 교수자와 학습자 상호작용 기반의 사제이음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해당 공동체에 대한 인식과 학습과정과 활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작성한 성찰 일지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교수-학습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동체 내에서 교수자의 역할은 학습자들이 개별학습에서 경험하게 되는 학습곤란을 해결해 주고, 학습과정 전반의 점검을 통해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설계ㆍ운영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둘째, 공동체는 학습자 개인의 사고를 검증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학습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할 수 있다. 동료 학습자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이 촉진되는 등의 사회적 구성주의의 결과로 나타낼 수 있는 학습효과가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의 공동체는 학습주제, 학습목표, 학습내용을 포함한 모든 학습계획을 자발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전략은 성취를 위한 목표를 학습자에게 정의하게 함으로써 목표지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학습목표가 미래의 중요성과 연관되게 인식하여 학습동기를 유지시킬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공동체에 참여하는 모든 학생에게 성찰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특히, 학습 결과만을 기록하는 것이 아닌 학습 과정 중에 일어나는 사건에 대한 경험들을 기록하였기 때문에 성찰을 통한 학습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이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동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의 재참여 의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교수자의 지도와 즉각적인 피드백 등을 통해 학습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습 과정에서의 학습곤란을 겪었던 경험을 교수자의 지도를 통해 극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에 프로그램에 대한 재참여 의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arners perceptions and the learning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a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ty. A survey of 211 student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flection and the journal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ty. The results found that, first, the learners recognized the learning effec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interaction positively and understood that the role of the professor was designed to be included in the communit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learning process. Second, the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learning effect because it provides a social environment that can change the learner’s thinking. Third, the teaching-learning community made it possible to plan learning objectives voluntarily. Through this, learners were able to maintain motivation because they could maintain goal orientation. Fourth, the learner was informed about the experiences of the ev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learning process, thus positively influencing the learning effect through reflection. Finally,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ty revealed that the tendency toward continued participation was the highest. This is because it became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experience of learning difficulties faced in the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instruction of the professor.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혜진(Hye-jin Park),차승봉(Seung-bong Cha). (2019).대학에서 학습공동체에 관한 학습자 인식 사례 연구. 문화와융합, 41 (5), 371-402

MLA

박혜진(Hye-jin Park),차승봉(Seung-bong Cha). "대학에서 학습공동체에 관한 학습자 인식 사례 연구." 문화와융합, 41.5(2019): 371-4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