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방한림전』에 나타나는 ‘양성성’과 가부장제

이용수 949

영문명
A Study on the the Androgyny and Patriarchy in Banghanlimjeon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미령(Kim, Miryeo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1권 5호, 1367~139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0.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방한림전』에 담긴 ‘양성성’에 주목한 것이다. 『방한림전』의 ‘방관주’라는 한 인물이 우리 사회에 규정처럼 존재하는 남녀라는 이분법적 성정체성을 극복하고, 양성성을 갖춘 한 인간으로서의 온전한 성숙의 과정을 담아낸 작품으로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방한림전』의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한림전』은 기존 여성영웅소설이 주된 주제로 삼고 있는 남녀의 차별과 대립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이다. 둘째, 『방한림전』은 미분화적 성정체성을 가지고 있던 방관주가 동성혼을 하게 되고, 혼인기간을 유지하면서 그동안 은폐돼 있던 여성성을 회복, 양성성을 획득하는 정신적 성장과정을 그려낸 이야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방한림전』에서 읽어낼 수 있는 긍정적 가치로서의 ‘양성성’의 의미를 살펴볼 수 있었다. 한 인간이 인간으로서 가장 강해졌을 때는 남성성과 여성성이 정신적으로 협력하며 조화를 이루었을 때, 즉 ‘양성성’이 발현되었을 때임을 『방한림』 은 잘 말해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방관주가 양성성을 갖추고 성숙하면서도 영웅적 인물로 편입할 수 있었던 기저에는 ‘지기’였던 영혜빙과의 동성혼으로 이루어진 ‘가정’이라는 공간이 있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이 공간은 상호간에 안전한 보호막의 역할은 물론이요, 숨기고 살아야하는 긴장의 삶 속에 유일한 안식처로서의 역할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공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positiveness in 『Banghanlimjeon』. This is because a person named Bangwan-ju in 『Banghanlimjeon』overcame the dichotomous gender identity of men and women in our society and demonstrated the process of full maturity as a human being. The meaning of 『Banghanlimjeon』 is as follows. First, 『Banghanlimjeon』 is a departure from the discrimination and conflict between men and women, whose main theme is the existing Femaleheronovel. Second, 『Banghanlimjeon』 is a story about the process of mental growth by which the bystander who had an undifferentiated gender identity entered into a same-sex marriage and recovered the femininity that was concealed and acquired positivity during the marriage period. I could confirm it. Third, we could examine the meaning of “positiveness” as a positive value that can be read in the 『Banghanlimjeon』. 『Banghanlimjeon』 said that when a person being became the strongest human, the masculine and feminine mentally cooperated and harmonized, and that is when “positiveness” was manifested.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pace called ‘home’ that was made up of a samesex marriage with Young Hye-bing, who was a “keeper”. This space was found to be meaningful because it was able to provide a role as the only resting place in a life of tension that must be hidden and lived, as well as the role of a safety shield between each other.

목차

1. 서론
2. 두 여주인공의 성정체성에 대한 인식
3. 여성성 회복과 양성성-동성혼의 맥락적 의미
4. 『방한림전』의 의미-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령(Kim, Miryeong). (2019).『방한림전』에 나타나는 ‘양성성’과 가부장제. 문화와융합, 41 (5), 1367-1394

MLA

김미령(Kim, Miryeong). "『방한림전』에 나타나는 ‘양성성’과 가부장제." 문화와융합, 41.5(2019): 1367-13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