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류(韓流)’에 내재한 ‘고대풍류정신(古代風流精神)’의 다원성 연구

이용수 348

영문명
The Study on Pluralism of Ancient Pungnyu-Jeongshin(the spirit of ancient Pungnyu) Embedded in Hallyu(Korean Wave)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성기욱(Sung Kiwook) 서은숙(Seo Eun-Sook)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1권 5호, 533~56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0.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대 한국의 ‘풍류(風流)’가 어떠한 의미와 사상을 가지고 한국인의 정신과 생활 속 내재되어 왔는가를 알아보고;21세기 세계문화의 아이콘으로 등장한 ‘한류(韓流)’의 출현과 발전;확산에 풍류의 다원성이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에 대한 연관성을 밝히려 했다. 이를 위하여 한국;중국;일본에 모두 존재하였던 풍류의 의미를 규정하고 풍류 해석에 대한 삼국(三國)의 차이 연구를 통하여 그 중 풍류도(風流道)로 발전하였던 한국의 풍류가 문화와 전통사상 형성에 기여한 모습과 방법에 대하여 역사적 사실과 이에 대한 문헌의 고증을 통하여 알아보고;문화 다원성의 포용과 조화를 추구하는 풍류정신(風流精神)을 통한 끊임없는 창조를 통해 한국문화의 발전이 이루어졌고;21세기 글로벌 문화를 주도하는 ‘한류’의 성장과 발전의 원인도 여기에 있음을 밝히려고 한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풍류의 개념에 대한 삼국(한ㆍ중ㆍ일)의 차이에 밝혀 실천적 이념의 성격이 강한 한국의 풍류가 고대국가의 종교;정치;사상을 주도하는 풍류도가 되었음을 밝히고;제3장에서는 한국의 고대 풍류도를 단군신화와 부여의 제천의식;신라의 화랑도를 중심으로 조사하여 한국 고대 풍류의 다원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4장에서는 풍류정신의 다원성과 한류의 연관성에 대해 천인합일;신명;조화 등의 예를 들어 설명하여 한국문화에 내재되어있던 다원성의 확보와 발전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cept of Pungnyu(風流), taste and refinement ) in ancient Korean society and how it is rooted in the spirit and life of the Korean people. In addition, it also tries to identify the role of Pungnyu in the emergence, development, and spread of Hallyu(韓流, Korean Wave ). To do so, the meaning of Pungnyu, which has been important in Korea, China, and Japan, is identified. Historical research on the discrepancy in the definitions between these countries, shows how Korean Pungnyu developed into Pungnyudo(風流道, the way of Pungnyu ) and how the concept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traditional ideology of Korea. The study then delves into Pungnyu-jeongshin(風流精神, the spirit of Pungnyu ), the spirit of pursuing harmony, inclusion, and diversity, and how this spirit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through a relentless creative process, discussinges how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Hallyu, a leading movement of 21st-century global culture, is attributable to this spirit. To do so, Chapter 2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he definitions of Pungnyu in the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and investigates how Korean Pungnyu, which had more pragmatic characteristics than in the other countries, developed into Pungnyudo which then became the religious, political, and ideological centerpiece of the ancient states of Korea. Chapter 3 investigates the diversity of ancient Pungnyu, focusing on Dangun mythology, the harvest ceremony of Buyeo, and the code of Silla chivalry. Chapter 4 explains the correlation between Pungnyu-jeongshin and diversity with examples of the unity of heaven and the human realm, excitement, and harmony, which secures the value of diversity embedded in Korean culture and provides theoretical support for the prospects of its future development.

목차

1. 서언
2. 동아시아 사회에서 풍류의 의미
3. 한국 고대 풍류의 내용
4. 풍류정신의 다원성과 한류
5. 결언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기욱(Sung Kiwook),서은숙(Seo Eun-Sook). (2019).‘한류(韓流)’에 내재한 ‘고대풍류정신(古代風流精神)’의 다원성 연구. 문화와융합, 41 (5), 533-566

MLA

성기욱(Sung Kiwook),서은숙(Seo Eun-Sook). "‘한류(韓流)’에 내재한 ‘고대풍류정신(古代風流精神)’의 다원성 연구." 문화와융합, 41.5(2019): 533-5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