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와 중학교 음악교과서 창작영역 분석

이용수 1186

영문명
Analysis of Music-creating Activiti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Music Textbooks Based on 2015 National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신혜경(Hae-Kyung Sh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0호, 691~71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0.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와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창작 영역 고찰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교육과정 성취기준, 활동 유형, 연계 활동, 음악 요소, 장르, 활용 매체, 평가 방식의 범주에 근거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 육과정 성취기준별 창작 활동의 비율은 초등학교부터 중학교까지 전 학년군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창작 활동의 유형은 전통적인 음악 창작인 작곡이나 즉흥연주보다 노랫말 관련 활동이나 음악극 만들기와 같은 응용된 활동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랫말 및 말붙임새 관련 창작 활동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이러한 활동 유형 편중의 영향으로 창작에서 사용되는 매체 중 목소리의 비중 역시 상당히 크게 나타난 반면 악기 사용은 매우 미비한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음악 요소 중 리듬 및 장단을 다루는 창작 활동이 전체의 과반수를 차지하였는데, 이 역시 노랫말 및 말붙임새 관련 창작 활동의 높은 비중의 영향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타영역과 연계된 창작 활동이 독립된 창작 단원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가창영역과 연계된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다섯째, 장르 분석 결과 서양음악과 국악이 주 를 이루는 가운데, 대중음악의 비중도 이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작물의평가 방식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경우는 주로 독립된 창작 단원으로 해당하며, 전체적으로 평가 내용을 제시한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usic-creating activiti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15.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analysis—such a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ctivity types, related activities, musical elements, genres, implemented media, and evaluation methods—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pplied to music creating activities was consistent across grade groups from elementary to secondary levels. Second, activity types had a greater proportion of applied activities mainly related to lyrics than authentic music-making activities, such as composition or improvisation. Consequently, the implemented media also had a large proportion of vocal components. Third, creative activities involving rhythm-related elements were the majority among other musical elements. Fourth, music creating activities were linked to other areas, such as singing or music appreciation, than independently creating music. Fifth, the proportion of popular music increased, while Western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dominated. Lastly, the proportion of activities presenting detailed evaluation methods was low.

목차

Ⅰ. 서 론
Ⅱ. 2015 개정 음악교육과정의 창작 관련 내용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혜경(Hae-Kyung Shin). (2019).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와 중학교 음악교과서 창작영역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20), 691-710

MLA

신혜경(Hae-Kyung Shin).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와 중학교 음악교과서 창작영역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0(2019): 691-7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