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이용수 186

영문명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in Practical Art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유진(Kim, Yu-Jin) 고인규(Go, In-Gyu) 최지연(Choi, Ji-Ye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0호, 1377~139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0.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실과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이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과교육의 주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요 교수·학습 방법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1 차부터 2015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실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주요 키워드와 1983년부터 2019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실과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205편의 초록에 드러난 교수·학습 방법의 키워드를 종합하여 30가지의 예비 변수를 추출 하였다. 추출된 키워드를 대상으로 2019년 8월 2일부터 8월 9일까지 현장교사 25인의 검토를 통하여 중요도가 높은 ‘프로젝트’, ‘문제해결’, ‘실습’을 핵심변수로 결정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실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서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 여 연구 동향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는 ‘프로젝트’, ‘문제해결’, ‘실습’이라는 주요 키워드가 있었으며 프로젝트와 문제해결은 각기 자기주도성과 창의성 과 연관되어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와 문제해결과 관련된 연구들은 실험연구 중심의 ‘효과’ 분석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앞선 모형을 수정 보안하거나 발전시키는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셋째, 실과에서 ‘실습’은 프로젝트나 문제 해결과는 다르게 오히려 그것의 효과를 살펴보는 실험 연구가 부족하여 프로젝트의자기주도성이나 문제해결의 창의성과 같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대표적 교육적 효과가 무엇인지를 발견할 수 없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related to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in practical arts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ers extracted the key-words from analyzing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from the 1st to the 2015 revision and the research 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rom 1983 to 2019. Key variables were determined as Project , Problem-solving and Practice through a review of the selected key words by the exper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n,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key words in the research o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 is derived according to the major outcomes of the study. First, teaching methods, which are considered important in practical arts education, had major key-words: Project, Problem-solving and Practice. And Project and Problem solving are related to self-direction and creativity. Second, the studies related to Project and Problem-solving are focused on experimental research-oriented effects analysis. Unfortunately, the researches are absolutely lacking of challenge and creativity in modifying or developing the preceding model. Third, Practice is lacking of the experimental studies looking at its effects as compared with Project or Problem-solving . So we can not find what typical educational effects are directly linked to, such as self-direction of Project or creativity of Problem-solving .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실과 교수·학습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변수 선정
Ⅳ. 실과 교수·학습 방법 네트워크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유진(Kim, Yu-Jin),고인규(Go, In-Gyu),최지연(Choi, Ji-Yeon). (2019).실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20), 1377-1395

MLA

김유진(Kim, Yu-Jin),고인규(Go, In-Gyu),최지연(Choi, Ji-Yeon). "실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0(2019): 1377-13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