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Individual Talker Differences in VOT: Salience Filtering Mechanism

이용수 82

영문명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Kim, Taeun(김태은)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9호, 1463~148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0.15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화자들은 발화행위시 개별 음을 구별하는 기준점으로 현저성을 판독하는 여과장치가 필요하며, 이 같은 기제를 운용함으로써 발화음을 인지한다. 특히, 성대진동개시시간(VOT)과 같은 시간적 음향단서는 화자들이 파열음의 유성(음)화를 인지할 때, 강력한 현저성 신호를 발현한다. 이에 주목하여, 본고는 화자들이 유성(음)화 기제를 운용하여 영어 파열음의 음운적 대립을 구현하고자 할 때, 활용하는 음향단서들 중 VOT와 발화속도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문제: 1)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은 어떤 방식으로 파열음 초성 영단어를 인지하고, 현저성 여과장치를 운용할까? 2) VOT 산출값에 있어 개별 화자간의 차이와 체계적인 변이 양상을 보여줄까? 3) 원어민 화자들과 한국인 학습자들이 구현한 발화 결과물의 차이가 존재할 경우, 현저성여과장치 기제를 작동하는 음향단서들은 무엇인가? 를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8인의 참가자들 (한국인 7인, 원어민 1인)을 대상으로 유/무성 파열음을 초성으로 하는 1음절(CVC) 영단어 36개를 선별하여 발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 (1) 참가자 모두 VOT와 발화속도를 현저성여과장치로 유성(음)화 대조에 대칭적으로 운용하였고, (2) 일정한 VOT값의 차이와 체계적인 변이 양상을 보였다. 그 러나 (3) 무성파열음의 경우, 3인의 한국인 학습자가 발화속도와 VOT값의 비대칭성을 보였고, 이는 동 화자들이 무성파열음 발화시 VOT 활용률이 원어민 화자에 비해 낮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두 가지 요인으로는 초성파열음의 현저성 여과장치가 유성(음)화에서 경(음)화로 전환하는 경우와 L1(한국어)과 L2(영어)의 음운규칙의 차이로 인한 L1 전이현상을 들 수 있다. 이는 화자들이 특정 언어지식 내에 구축한 현저성여과장치기제 운용을 통한 목적언어 발화행위 시의 화자가변성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Previous studies attested that the operationalization of speech perception during speech acts requires mapping to determine the point of salience, the point at which a sound becomes distinguishable. Temporal acoustic cues such as voice-onset-time (VOT) strongly signal salience to talkers, in particular, perception during the voicing contrasts in stop consonants. This paper examined the salient perceptual cues of stop voicing consonants for differences in phonemic categories, comparing VOT and speaking rate for: 1) how Korean learners of English as individual talkers perceive and utilize salience filters; 2) if they differ from one another in VOT productions; and 3) if not, how native English talkersin the speech production differ from Korean learners and what kind of acoustic cues operationalize salience in speech production. The experiment on eight subjects (7 Korean and 1 Native talkers) producing 36 monosyllabic English words beginning with voiceless/voiced stops was conducted and the outcomes indicated that (1) VOT increased as rate decreased for all 8 talkers, but the increase ratio varied significantly across talkers; (2) VOT varied systematically for voiced stops and was stable across all 8 talkers; (3) however, for voiceless stops, 3 Koreans showed asymmetry against speaking rate; revealing that Koreans implement VOT less as salience filters for the voiceless stops in contrast to the native speaker. These findings suggest two contributing factors regarding Koreans’ language-specific knowledge and how variability in production is structured in the target language: either altering salience filters from voicing to tensity or L1 transfer effect caused by different phonological rules between L1(Korean) and L2 (English).

목차

Ⅰ. Introduction
Ⅱ. Salience Filtering Mechanism
Ⅲ. Experiment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Kim, Taeun(김태은). (2019).Individual Talker Differences in VOT: Salience Filtering Mechanism.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19), 1463-1487

MLA

Kim, Taeun(김태은). "Individual Talker Differences in VOT: Salience Filtering Mechanism."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9(2019): 1463-14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