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운동장의 공간적 속성과 교육적 의미

이용수 272

영문명
Spatial Properties and Educational Meaning of School Playground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고문수(Ko, Moon-So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7호, 733~75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 운동장의 공간적 속성과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는 2019년 3월부터 7월까지 연구자의 운동장 일지를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토대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운동장의 속성은 ‘생활 속 움직임의 공간’, ‘운동 수행 실천의 공간’, ‘또래와의 관계 형성 및 소통의 공간’ 그리고 ‘여가를 즐기는 공간’으로 범주화되었다. ‘생활 속 움직임의 공간’은 통행의 장소, 놀이터 및 쉬는 장소 그리고 교사 없는 교육의 장소로 분류되었다. ‘운동 수행 실천의 공간’은 운동 수행 능력 향상의 장, 이해력 증진의 장 그리고 규범실천 능력 형성의 장으로 분류되었다. ‘또래와의 관계 형성 및 소통의 공간’에서는 의견 교환의 장, 친 사회적 상호작용의 장이 도출되었다. ‘여가를 즐기는 공간’은 축구 경기를 하는 장소, 규범으로부터 자유로운 장소, 자연물과 조우하는 장소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그리고 학교 운동장의 속성에 내재한 교육적 의미는 ‘성장과 삶의 질 확장’, ‘자신감과 자율성의 발휘’, ‘사회적 상호작용의 터(teo)’ 등으로 도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d the spatial properties and educational meaning of school playground.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the researcher s playground logbook from March to July 2019 and analyzed the data based on the analysis of spot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proposed by Spradley (1979). In this study, we categor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playground as space of movement in life , space of exercise practice , space for communication with peers, and space for enjoying leisure . The space of movement in life consisted of a place of passage, a playground and a place of rest, and a place of education without teachers. The space of practice for exercise consisted of a place to improve exercise performance, a place to promote comprehension, and a place to form ability to practice norms. In the space for forming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with peers , the place of exchange of opinions and the field of pro-social interaction were derived. The space to enjoy leisure was categorized as a place to play football, a place free from norms, and a place to encounter natural objects. In additi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inherent in the properties of the school playground was categorized by the expansion of growth and quality of life, the demonstration of self confidence and autonomy, and the teo of social inter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문수(Ko, Moon-Soo). (2019).학교 운동장의 공간적 속성과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17), 733-752

MLA

고문수(Ko, Moon-Soo). "학교 운동장의 공간적 속성과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7(2019): 733-7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