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상대화 속 경험 이야기의 치유적 가능성 탐구: 기혼여성 3인의 식사 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358

영문명
Exploring the healing possibilities of experiential stories in everyday talk: focused on a table talk of three married wom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윤경(Kim Yunkyo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3호, 869~88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7.15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기혼여성 3인의 일상대화 속 경험 이야기에 나타난 내러티브 정체성을 분석함으로써 그 치유적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이론적 토대는 내러티브 정체성, 문학치료, 이야기치료이며, 그 중심에는 ‘내러티브’가 있다. 연구참여자는 기혼여성 3인이며 그들의 식사 대화, 카카오톡 대화, FGI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방법은 담화분석 중에서도 담화심리학적 분석이며, 그중에서도 일상대화 속 내러티브 정체성을 분석하는 방법인 자리매김 분석이다. 분석결과, 세 아이의 육아와 공부를 병행하고 있는 미현은 ‘엄마’로서 육아와 집안일에 소홀하다는 지배적 이야기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러다 영화에 대한 대화를 나누면서 ‘연대’의 힘을 느끼게 된다. 허구적 서사물에 빗대어 자신의 목소리를 내게 된 미현은, 지영의 입을 통해 ‘자기만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욕망을 발견하게 되고 대안적 이야기를 모색하게 되면서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해 가고 있었다. 이렇듯 기혼여성들에게 일상대화 속 경험 이야기는 부정적 감정을 배설하고 신뢰속에서 공감을 얻으며 억눌린 욕망을 발견할 수 있는 해방구였다. 기혼여성들의 ‘수다’는 거세된 목소리에서 해방되어 자신만의 새로운 목소리를 찾아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는 상호치유적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healing by analyzing the narrative identity in the story of experience in the daily conversation of three married women.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study is narrative identity, literary therapy, narrative therapy, and there is ‘narrative’ at the center.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ree married women and their table talk, Kakao Talk, and FGI data were analyzed. The method is discourse psychological analysis among discourse analysis, among which is positioning analysis which is a method of analyzing narrative identity in everyday tal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ihyeon, who is involved in child care and studying of three children, was suffering from the dominant story that she was neglected in child care and housework as mother . However, by talking about a fictional narrative called , Mihyeon begins to change. Mihyeon, who gave his own voice to the fictional story, discovered the desire for her own time and space through Jiyoung, explored alternative stories and constructed new identity together. In this way, the experience story in everyday conversation for married women was a patriarch-free zone where they could empathize with negative emotions, gain empathy in trust, and find repressed desire. The chatters of married women had the possibility of mutual healing to be freed from the castrated voices and to find their own new voices and live fre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일상대화 속 경험 이야기의 상호치유성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경(Kim Yunkyoung). (2019).일상대화 속 경험 이야기의 치유적 가능성 탐구: 기혼여성 3인의 식사 대화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13), 869-889

MLA

김윤경(Kim Yunkyoung). "일상대화 속 경험 이야기의 치유적 가능성 탐구: 기혼여성 3인의 식사 대화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3(2019): 869-8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