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기반 성인여성 인재양성 기능 강화 방안
이용수 409
- 영문명
- Ways to Strengthen the Functions of Universities to Cultivate Talented Adult Women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박성정(Sung-Jung Park) 신선미(Seon-Mi Shin) 김남희(Nam-H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6 연구보고서 (기본), 1~156쪽, 전체 15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15
21,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평생학습사회에서 대학들은 정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전통적인 고등교육 기능과 더불어 성인들을 위한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확대해가고 있다. 지역대학의 경우 앞으로 입학생 수의 급격한 감소와 베이비부머 은퇴자의 증가로 성인들이 더욱 중요한 교육대상으로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학확장교육(University extension), 계속교육(continuing education), 성인대학(adult university) 등 성인교육을 위해 대학의 자원을 개방하는 것은 평생학습사회에서 대학의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저출산?고령화와 지식사회 도래에 따른 새로운 교육수요의 증대 등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서, 우수한 인적?물적?지적 교육인프라를 가진 대학이 학령기 학생중심 체제에서 성인 친화적인 체제로 전환하도록 지원하고 있다(교육부 평생직업교육국, 2010). 평생학습중심대학으로의 변화를 주도하는 교육부는 물론 여성가족부, 미래창조과학부도 경력단절여성 교육, 재직여성 교육, 여성과학기술인 경력복귀 지원 등 고학력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수행기관으로 대학의 인적, 물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을 기반으로 한 평생교육원, 평생학습중심대학사업,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 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새일센터 등 여성인재 양성과 관련된 기관 및 사업들을 중심으로, 대학이 성인여성 인재양성을 위한 평생교육 기능을 강화하고 전문성을 제고하여 여성인재 양성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Ⅱ. 성인을 위한 대학교육의 개방
대학이 지역사회의 성인들에게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대학의 주된 목적은 아니었지만, 대학의 사회봉사 기능으로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발전해왔다. 우리나라에서도 대학평생교육원을 통해서 대학평생교육이 발전해왔지만 그것은 대학의 ‘부설’ 기능으로 역할을 인정받았을 뿐이다. 그러나 2008년 이후 대학의 체제를 평생교육체제로 개편하려는 ‘평생학습중심대학 사업’에 정부의 의지가 투입되어 큰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의 배경에는 평생교육 이념의 확산 외에도 고령화 및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가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고령화로 인한 성인계속교육에 대한 요구 증대, 대학에 대한 평생교육기능 강화 기대, 대학의 지역사회봉사 요구,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의 감소가 대학입학자원 확보에 미치는 위기 등이 대학과 정부에 대학체제 개편을 실행하도록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성인들을 대학에서 교육하기 위해서는 대학학사 운영의 근본적 개편이 필요하다. 첫째, 가장 중요한 것은 입학기준을 학생들의 경우와 달리 유연하게 적용하는 것이다. 성적 외에 자격증, 경력, 학습활동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고 있다. 대학에서 수학할 수 있는 능력을 시험을 통해서 검증하는 전통적 방식을 따라야한다면 성인들이 대학에 입학하는 것은 매우 큰 장애에 부딪힐 것이다. 이에 국내외에서 성인들의 경험과 경력을 평가해서 입학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사전학습경험인증제’에 대한 논의가 발전해왔다. 둘째, 시간제 등록제, 야간, 주말과정 등 교육과정을 성인들의 편의에 맞게 편성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성인친화적 학사운영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성인학생을 위한 장학금, 주거 지원, 보육 지원 등 성인들의 생활과 학업을 병행하는 데 도움을 주는 서비스들이 도입되어 왔다. 학생들이 학업을 따라가기 힘들어 하는 강의에 대해서는 무료로 보완교육을 제공하거나, 성인학생들이 다른 일반 학생들이 누리는 경험과 혜택에서 제외되지 않도록 대체 프로그램도 마련해놓고 있다. 그리고 이들 성인학생들이 졸업후 노동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도록 돕기 위해 각종 커리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비전통적 성인학생들끼리 상호 연계하고 네트워킹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도 한다.
영문 초록
Ⅰ. Research Needs and Objectives
With the advent of a new era of low fertility, population aging, and knowledge, Korea has supported universities with human and material education infrastructure to shift their focus from a school-age students-based system to an adult-friendly education system to effectively react to socio-economic changes such as the rise in demand for new types of educational servic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aims to seek ways to enable universities to reinforce their function to nurture talented adult women and thereby to more actively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such women, based on Lifelong Education Centers, Lifelong Learning universities, Career Development Centers for College Women, the Center for Women in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Re-employment Support Centers for Women, and so forth.
Ⅱ. Fact-Finding
For this research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n lifelong education administrators awareness of needs and conditions for and constraints on college-based education for adult women. 261 out of the population of 462 successfully responded to this survey that used 2015 data, posting a response rate of 56.5%.
1. Project Team Operation and Women s Participation
How project teams surveyed operated courses for adult learners in 2015 was studied and analyzed for this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ults, 82.0%, 27.2%, and 40.2% of the teams operated non-degree, degree, and credit courses,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women in students newly enrolled in degree programs in 2015 was also examined. The share of women in Lifelong Learning universities, College-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Centers, stood at 55.4%, 75.1%. The reasons for the lower share of women in degree courses were asked of the survey participants. 43.7% replied that the percentage of programs preferred by men was high while 16.9% answered that it was difficult for women to attend programs during the education service hours. 14.1% chose lack of women who meet admission requirements as the main reason for the issue.
2. Difficulties in Operating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The recruitment of adult students” (61.7%) was cited as the most signifiant difficulty that universities encounter in the process of operating lifelong education projects. It was followed by “the faculty’s and students’ lack of understanding of adult learners” (38.3%), “inflexible educational operation” (32.5%), “adult learners’ lack of academic capability and their unfaithful attitude” (22.3%), “employers’ lack of cooperation” (18.0%), and “adult education administrators’ lack of expertise” (8.5%). Degree program operators had more prejudice against and assumed a more critical attitude towards adult learners. The largest percentage (30.3%) of Lifelong Learning universities operating degree courses for the employed cited “employers’ lack of cooperation” as the biggest difficulty. Survey participants were also asked about the biggest difficulties facing adult learners. Housework (child care and learning-work-life balancing) was chosen by 60.5% of the respondents, followed by “inconvenience in education service hours” (17.6%), “school expenses” (12.3%), and “lack of academic capability, self-confidence, and enthusiasm” (9.2%).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관련 정책
Ⅲ. 실태조사
Ⅳ. 결론 및 정책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6년 여성관리자패널조사
- 여성후보공천할당제의 성과와 실효성 확보방안
- 취업 및 비취업 여성의 역량 실태와 과제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의 운영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 여성·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Ⅳ): 가족돌봄휴직제도 심층분석
- 임신·출산 관련 산업안전보건 및 산재보험 정책의 개선방안
- 남북한 여성가족 통계 비교 연구
- 양성평등정책 수용성 및 실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연구(Ⅱ)
- 능력중심사회에 기반한 여성직업능력개발체계 분석 및 정책과제(Ⅰ)
- 양성평등기본법 시행에 따른 가족정책의 이슈와 과제
- 여성의 생애주기별 안전강화를 위한 정책과제(Ⅰ)
- 2016년 아태지역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강화 사업(Ⅵ)
- 육아휴직 소득보장실효성 확보방안 연구
- 남성의 양성평등정책 통합을 위한 정책논리와 추진과제
- 정부 부처의 교육관련 사업의 성인지적 분석과 효율성 제고 방안
- 통일한국의 양성평등제도
- 중소기업의 여성인력활용제도 정착 및 확산을 위한 정책과제
- 남성의 관점에서 본 노인 돌봄 경험과 역할전환에 관한 연구
- 군대내 성폭력 피해자 보호의 문제와 개선방안 연구
-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결산제도 분석·평가사업(Ⅱ)
- 개정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 개발(Ⅰ)
- 2016 한국의 성인지 통계
- 성과주의예산제도의 발전과 성인지예산제도에 대한 함의
- 여성·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Ⅳ): 제20대 국회 여성·가족 관련 입법과제
- 정부정책의 여성고용 영향과 분야별 개선 과제(Ⅱ)
-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의 실효성 제고와 협력체계 활성화 방안(Ⅱ)
- 건강정책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과 향후 과제
- 공직내 여성관리자 육성을 위한 인사관리 방안 연구
- 대학기반 성인여성 인재양성 기능 강화 방안
- 다문화가족의 구성 변화와 정책 대응 다각화 방안
- 통일 대비 여성·가족정책 추진 전략과 통일한국 사회통합 전망 연구(Ⅱ)
- 국가 성인지예·결산제도 분석·평가 연구(Ⅱ)
- 2016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여성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여성학분야 NEW
- 여성학논집 제41집 2호 목차
- 디지털 성폭력 피해 상담자의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디지털 성폭력 피해 상담의 어려움과 대처를 중심으로
- 노동시장은 성평등해지고 있나? : ‘젠더 갈등’과 노동시장의 성별 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