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성의 관점에서 본 노인 돌봄 경험과 역할전환에 관한 연구
이용수 742
- 영문명
- Male caregivers’ experience of elderly caregiving: Focusing on the burden and transition to a caregiver role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최인희(In-Hee Choi) 송효진(Hyo-Jean Song) 지은숙(Eun-Sook Jee) 정다은(Da-Eun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16 연구보고서 (기본), 1~276쪽, 전체 27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15
3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Ⅰ. 연구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최근 한국사회의 노인돌봄과 관련한 대표적인 변화는 ‘남성(남편, 아들 등)’이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제한이 있는 노인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주된 역할을 수행하는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임.
- 그러나, 기존 국내 노인돌봄 연구는 ‘여성’ 돌봄자의 돌봄 경험, 부양부담 및 부담경감 방안에 초점을 두고 수행되었으며, ‘돌봄의 주체’로서의 남성과 남성의 돌봄자로의 역할 전환(transition) 과정에 초점을 둔 연구는 제한적으로 수행됨.
- 국외에서는 증가하는 남성돌봄자의 이슈를 탐색하기 위해 돌봄 수행방식 및 주돌봄자가 인지하는 노인돌봄 부담에 있어서의 성별차이(Akpinar et al., 2011; Montgomery, 1992; Pinquart & Sorensen, 2006; Stoller, 1992), 남성의 노인돌봄 경험(히라야마 료, 2015; Pretorius et al., 2009; Ribeiro et al., 2007; Sanders & Power, 2009) 및 남성성이 남성돌봄자들의 노인돌봄 경험에 미치는 영향(Baker et al., 2010; Russell, 2007)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며 국내에서도 노인을 돌보는 남성돌봄자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된 바 있으나(이순미·김혜경, 2009; 최희경, 2012a) 남성들의 돌봄 경험을 면밀히 탐색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수행되었음.
- 이에 본 연구는 남성들의 노인돌봄 경험을 남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돌봄을 둘러싼 젠더정체성 및 가족관계 변화양상을 포착하여 선제적인 가족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남편, 아들 등)에 의한 노인돌봄 현황 및 남성의 돌봄자로의 역할 전환 과정을 살펴보고, 이들의 정책지원 욕구를 파악하여 제도보완 및 남성 가족돌봄자를 위한 정책개발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임.
2. 연구의 주요 내용
□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음.
- 첫째, 배우자 또는 (조)부모를 돌보는 남성의 가족돌봄 현황(예: 돌봄기간, 시간, 돌봄 이유, 돌봄자 및 요보호노인의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망 등) 및 돌봄부담(burden)은 어떠한가?
- 둘째, 남성이 배우자 또는 (조)부모를 돌보게 되면서 경험하게 된 변화(예: 관계적 측면, 돌봄의 의미 등)는 무엇인가?
- 셋째, 배우자 또는 (조)부모를 돌보는 남성의 삶의 질은 어떠한가?
- 넷째, 배우자 또는 (조)부모를 돌보는 남성의 가족돌봄 지원 정책(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등)에 관한 인지도 및 이용 경험, 정책지원 욕구는 어떠한가?
3. 연구방법
□ 문헌 연구
- 본 연구에서는 남성의 노인 돌봄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 및 우리나라와 일본의 가족돌봄자 지원제도에 관한 자료를 검토하였음.
□ 2차 통계자료 분석
-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정경희 외, 2014)를 활용하여 요보호노인의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는 사람, 가족원 중 가장 도움을 많이 준 사람 및 주당 돌봄시간 등을 분석하였음.
□ 설문조사 및 분석
- 조사대상은 일상생활을 스스로 영위할 수 없는 55세 이상 노인을 조사시점에서 3개월 이상, 주당 15시간 이상 돌보고 있는 가족원 중 남성(남편, 아들 등) (N=247)으로 설정하였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1:1 면접조사를 수행하였음. 조사표는 1) 가족 및 돌봄대상자 특성, 2) 돌봄현황, 3) 사회적 지지, 4) 응답자의 건강 및 경제활동, 5) 가치관 및 삶에 대한 태도, 6) 정책지원 욕구로 구성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남성의 돌봄 현황 및 돌봄 부담, 역할전환 과정, 돌봄지원 정책 및 서비스 이용 경험과 정책지원 욕구 등을 파악하였음.
□ 심층면접 조사 및 분석
- 남성돌봄자의 돌봄 경험을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영위할 수 없는 배우자 또는 부모를 조사시점에서 3개월 이상, 1주 평균 15시간 이상 돌보는 남성(17명)을 대상으로 1:1 면접을 수행하였음. 심층면접에서는 돌봄 상황 및 관계적 특성이 돌봄에 미치는 영향, 돌봄 경험의 의미, 돌봄지원 정책 및 서비스 이용 경험과 정책지원 욕구 등에 대해 살펴보았음.
□ 전문가 자문회의
- 관련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하여 연구설계 및 방법, 정책대안에 대한 관련 부처 및 전문가 자문의견을 수렴하였음.
4. 연구의 기대효과 및 한계점
□ 본 연구는 그동안 제한적으로 수행된 연구인 ‘남성’ 가족돌봄자의 노인돌봄 경험을 탐색하고, 학술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음.
- 그러나, 노인을 돌보는 남성 가족돌봄자 모집단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의 부재로 임의할당추출에 의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음.
- 남성돌봄자만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여 여성돌봄자와의 돌봄 경험 및 부양부담의 차이를 직접적으로 비교하지 못
영문 초록
The number of male family caregivers in Korea, especially those providing spousal caregiving in old age,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However, since women have long predominated in the family caregiving role,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experience of caregiving by males in terms of the breadth and depth of care work and its mea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regiving experience of husbands and sons providing care to a spouse or parent(s) aged 55 and older who showed limitation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or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for a period of at least six month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purposive sample of 247 male caregivers who served as the primary care providers for a dependent spouse or parent(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variate models were obtained using SPSS Statistics. In additio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17 male caregivers were conducte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a comprehensive content review of all data, including line-by-line analysis, was conducted.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the participants.
Some of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pproximately one-fourth of respondents identified personal bonds as being their motivation for taking care of a dependent spouse or parent(s). The average caregiving period was around 47.7 months, and respondents spent approximately 34.1 hours per week on average on caregiving. Secondl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in our sample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caregiving to be burdensome to some degree, especially in the areas of assistance with bathing (52.9%), voiding (49.5%), household management (44.6%), and meal preparation (50.6%). A significant number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one of the most difficult aspects of caregiving was balancing a personal life with the caregiving role, and most respondents stated that the initial phase of caregiving was the most difficult as they made the transition to the new role as caregiver and restructured their life. In addition, spousal caregivers generally experienced a higher level of caregiving burden compared to son caregivers since they are more likely to be older, unhealthier, and have fewer resources. However, a majority of male caregivers also found caregiving to be a very rewarding experience in that they felt useful (72.9%) by providing care to a dependent family member or they had grown closer to their dependent spouse or parent(s) as a result of the caring (54.7%). Thirdly, about 65%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secondary caregivers available to support them regularly in their caregiving. This finding supports previous research in which male caregivers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have access to additional informal caregivers than were female caregivers. Fourth, although a significant number of respondents in our sample reported that they were aware of long-term care insurance (LTCI) benefits,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were receiving LTCI benefits was relatively smaller. Likewise, while approximately 80% of respondents reported being satisfied with the overall services available, the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s suggested that service adequacy, especially in-home care service, was insufficient for assisting family caregivers with balancing work life with the caregiving role. They also suggested that overall service quality should be improved to enhance quality of life among both older adults and family caregivers. However, in the regression analysis, use of LTCI benefits was not a predictor of male caregivers’ burde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일본의 남성돌봄자와 가족돌봄자 지원 정책
Ⅳ. 남성 가족돌봄자의 노인돌봄
Ⅴ. 결론 및 정책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6년 여성관리자패널조사
- 여성후보공천할당제의 성과와 실효성 확보방안
- 취업 및 비취업 여성의 역량 실태와 과제
-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 제도의 운영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 여성·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Ⅳ): 가족돌봄휴직제도 심층분석
- 임신·출산 관련 산업안전보건 및 산재보험 정책의 개선방안
- 남북한 여성가족 통계 비교 연구
- 양성평등정책 수용성 및 실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연구(Ⅱ)
- 능력중심사회에 기반한 여성직업능력개발체계 분석 및 정책과제(Ⅰ)
- 양성평등기본법 시행에 따른 가족정책의 이슈와 과제
- 여성의 생애주기별 안전강화를 위한 정책과제(Ⅰ)
- 2016년 아태지역 양성평등 정책 인프라 강화 사업(Ⅵ)
- 육아휴직 소득보장실효성 확보방안 연구
- 남성의 양성평등정책 통합을 위한 정책논리와 추진과제
- 정부 부처의 교육관련 사업의 성인지적 분석과 효율성 제고 방안
- 통일한국의 양성평등제도
- 중소기업의 여성인력활용제도 정착 및 확산을 위한 정책과제
- 남성의 관점에서 본 노인 돌봄 경험과 역할전환에 관한 연구
- 군대내 성폭력 피해자 보호의 문제와 개선방안 연구
- 지방자치단체 성인지예·결산제도 분석·평가사업(Ⅱ)
- 개정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 개발(Ⅰ)
- 2016 한국의 성인지 통계
- 성과주의예산제도의 발전과 성인지예산제도에 대한 함의
- 여성·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Ⅳ): 제20대 국회 여성·가족 관련 입법과제
- 정부정책의 여성고용 영향과 분야별 개선 과제(Ⅱ)
- 성별영향분석평가제도의 실효성 제고와 협력체계 활성화 방안(Ⅱ)
- 건강정책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과 향후 과제
- 공직내 여성관리자 육성을 위한 인사관리 방안 연구
- 대학기반 성인여성 인재양성 기능 강화 방안
- 다문화가족의 구성 변화와 정책 대응 다각화 방안
- 통일 대비 여성·가족정책 추진 전략과 통일한국 사회통합 전망 연구(Ⅱ)
- 국가 성인지예·결산제도 분석·평가 연구(Ⅱ)
- 2016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여성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여성학분야 NEW
- 여성학논집 제41집 2호 목차
- 디지털 성폭력 피해 상담자의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디지털 성폭력 피해 상담의 어려움과 대처를 중심으로
- 노동시장은 성평등해지고 있나? : ‘젠더 갈등’과 노동시장의 성별 격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