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과 일본의 사회적 재생산 비교 연구

이용수 82

영문명
The Comparative Study on Social Reproduction between Korea and Japan
발행기관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저자명
김민주(Min Joo Kim)
간행물 정보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9권 2호, 905~912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회적 재생산 개념은 유럽학자들을 중심으로 등장한 이후 한 사회의 발전 나아가 복지국가의 발전을 결정짓는 주요한 개념이자 토대가 되는 요인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사회적 재생산은 국가와 사회, 생산과 재생산, 경제와 비경제 사이를 연결해주고, 그를 통해 여성들이 주로 담당해 온 재생산 노동을 통합하는데 유용한 설명의 틀로 논의되어지고 있다. 사회적 재생산 개념이 확립된 이후 이에 대한 교육적 측면과 여권주의적 관점을 반영한 다양한 연구들이 등장하였지만, 사회적 재생산 수준을 측정하는 측정요소들과 지표나 지수들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재생산을 측정하기 위해서 먼저 사회적 재생산 개념을 정의한 후, 사회적 재생산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요소들과 지표, 지수들의 객관적인 자료들을 탐색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본격적으로 동아시아문화권인 한국과 일본의 사회적 재생산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OECD와 같은 국제적인 기구들이 수집한 사회적 재생산 수준의 다양한 객관적인 자료들을 중심으로 내용분석과 사회지표분석을 하고, 그에 따른 논의를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concept of social reproduction has been acknowledged as a key concept and basis for deciding the development of a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a welfare state since its emergence centering on European scholars. In particular, the social reproduction is discussed as a framework for explaining the link between the state and society, production and reproduction, economy and non-economy, and through the reproductive labor that women are primarily engaged in. After the concept of social reproduction has been established, a variety of studies have emerged that reflect the educational and feminist perspectives on this, but there are limited research on the measurement factors and indicators or indices that measure social reproduction levels of the st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ly define the social reproduction concept in order to measure social reproduction level, and then to search objective data of measurement factors, indicators and indices that can measure the social reproduction. Furthermore, this study is mainly aimed at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ocial reproduction level of Korea and Japan, which have similar East Asian cultures. For accomplishing these purposes,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ents and social indicators based on various objective indicators of social reproduction level collec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OECD, and discuss them accordingly.

목차

1. 서론
2. 사회적 재생산
3. 한국과 일본의 사회적 재생산 비교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주(Min Joo Kim). (2019).한국과 일본의 사회적 재생산 비교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 (2), 905-912

MLA

김민주(Min Joo Kim). "한국과 일본의 사회적 재생산 비교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2(2019): 905-9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