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환경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이용수 229

영문명
An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지혜(CHOI JEEHAE) 백설아(BAEK SEOLAH) 주소영(JU SOYEONG) 최효언(CHOI HYOEON) 김민경(KIM MINKYE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4호, 407~42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환경교육 관련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환경교육 관련 성취기준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환경교육 관련 내용 요소 분석의 틀을 선정하여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서 환경과 관련 있는 교과목인 통합교과, 사회, 과학, 실과, 진로와 직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자 간 독립적 분석 후 상호 교차 검증을 통해 환경 관련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교과목을 중심으로 파악하였을 때 통합교과가 가장 많은 성취기준을 포함하였으며,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가 가장 많은 성취기준을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환경교육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을 때 환경 지식이 가장 많은 성취기준을 가지고 있었고, 환경교육의 하위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을 때는 환경 지식의 지구생태시스템이 가장 많은 성취기준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살펴보면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서는 환경교육 관련 성취기준이 다양한 교과 및 학교급에서 균등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교육의 영역도 환경 지식에 치우쳐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후속 연구를 위한 함의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o understand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s and follow-up studies. Methods For this purpose a framework for analyzing environmental education related content elements was sele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integrated subjects, social studies, science, practical studies, career and occupations related to the environment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en identified based on the subject, the integrated subject included the most achievement standards, and elementary schools included the most achievement standards by school level. Finally, when analyzed focusing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rea, environmental knowledge had the most achievement standards and when analyzed focusing on the sub-area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global ecosystem of environmental knowledge included the most achievement standard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n the 2015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not evenly implemented in various subjects and school levels, and the area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also biased toward environmental knowledg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deriv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지혜(CHOI JEEHAE),백설아(BAEK SEOLAH),주소영(JU SOYEONG),최효언(CHOI HYOEON),김민경(KIM MINKYEONG). (2022).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환경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4), 407-421

MLA

최지혜(CHOI JEEHAE),백설아(BAEK SEOLAH),주소영(JU SOYEONG),최효언(CHOI HYOEON),김민경(KIM MINKYEONG).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내 환경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4(2022): 407-4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