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교사 발달과정에서의 좌절 극복 경험 탐색

이용수 349

영문명
An Exploration of Overcoming Experience of Frustration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velopment Process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윤소민(So-Min Y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4호, 343~36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그들의 발달과정에서 경험하는 좌절의 원인과 그에 대한 대처, 좌절의 극복으로 인한 변화 등 좌절극복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좌절 극복의 경험이 있는 K지역 초등교사 5명을 대상으로 질적 면접을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개방코딩을 통하여 연구참여자들의 표현을 그대로 요약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비교하는 범주화 작업을 통해 상위범주로 분류하였다. 범주화된 내용을 바탕으로 원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적합도에 따라 범주를 수정⋅확정하는 범주확인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구참여자 확인법을 거쳤다. 결과 분석결과, ‘좌절의 원인’, ‘좌절에 대한 대처 방식’, ‘좌절극복을 통한 변화’라는 3개의 상위범주 아래 좌절의 원인으로 ‘다양한 교육수요자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함’, ‘교사로서 무능하다는 수치심과 자괴감’, ‘노력해도 되지 않더라는 자포자기의 심정’, ‘자신의 잘못과 감정에 직면하는 것이 어려움’, ‘힘든 사건이 금방이라도 재발할 것 같은 두려움’, ‘문제해결을 위한 도움에 소극적인 학교행정’의 6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좌절에 대처하는 방식으로는 ‘학습공동체나 자발적 학습, 성찰을 통하여 발전을 시도’, ‘동료 교사 및 관리자와의 협업, 공감, 지지로 용기를 얻음’, ‘외부의 자극 탓에서 벗어나 탐색을 통해 내면적 성장을 도모’, ‘전근하거나 전담을 선택하여 사건을 잊고 재발을 방지하고자 함’으로 4개가 도출되었다. 좌절극복을 통한 변화로는 ‘학생 및 학부모에 대한 깊은 이해와 소통 방식의 긍정적 변화’, ‘지나친 욕심을 내려놓고 평온한 마음으로 직무를 수행하게 됨’, ‘현실적인 교사 역할의 한계를 받아들이면서 학생에 대한 애정을 유지함’, ‘자신에 대한 사랑과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가 넓어져 겸허하고 성숙해짐’, ‘완전한 극복은 없고 좌절은 언제고 다시 일어날 수 있다는 열린생각’으로 5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초등교사의 좌절 극복 과정을 체계적으로 밝힘으로써 이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토대를 마련하였고, 좌절은 인간의 실존적 문제라는 인식과 학문적 관심을 환기시켰다. 교사발달의 단계와 특성들에 중심을 두던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교사 발달과정에서 좌절 극복의 의미와 긍정적 영향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overcoming frustration such as a cause of the frustration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counter in their development processes, its management, and a change caused by overcoming it. Methods A qualitativ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region of K who had experience of overcoming frustration, and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 Expression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ummarized as they were through open coding and classified into high categories through categorization work comparing them repeatedly. Based on what was categorized, a confirmation process of the categories, which corrected and confirmed them according to the goodness of fit model through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data, was carried out, and member checking was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ix subcategories as a cause of frustration were derived from top categories of cause of frustration, method for frustration management, and change through over coming frustration: failure to respond adequately to the needs of a variety of education consumers, sense of shame and self-destruction of being incompetent as a teacher, desperate feelings that nothing is accomplished in spite of making an effort, difficulty in facing one’s wrongdoing and feelings, fear that a tough case is likely to recur at any minute, and school administration that is passive in helping to solve problems. Four methods were derived for frustration management: attempting to develop through a learning community or voluntary learning and reflection, taking courage from collaboration and empathy with fellow teachers and managers and their support, getting away from ascribing to external stimuli and promoting inner growth through exploration, and trying to forget every case and prevent from recurring by transferring to another school or choosing subject teacher. As for change through over coming frustration, five subcategories were derived: having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positive change in communication style, putting excessive greed aside and being able to perform a task with a calm and peaceful mind, accepting the limits of the teacher’s realistic role and maintaining affection for the students, becoming humble and mature through an expanded self-love and undestanding of other people, and having an open mind that overcoming completely is not possible and frustration may be able to happen again at any time. Conclusions A groundwork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over coming frustration was laid by systematically determini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ver coming frustration, and perception and academic interest saying that frustration was an existential problem of human were arouse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got away from the existing perspective which had focused on the stages of the teachers’ development and its characteristics and revealed the meaning and positive impact of over coming frustration in the teachers’ development proces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소민(So-Min Yun). (2022).초등교사 발달과정에서의 좌절 극복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4), 343-365

MLA

윤소민(So-Min Yun). "초등교사 발달과정에서의 좌절 극복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4(2022): 343-3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