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 개인 변인에 따른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차이 및 연관성 분석

이용수 307

영문명
An Analysis of Differences and Associ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depending on the Personal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733~75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15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초등학생 개인 변인에 따른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차이 및 연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연구 참여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언어생활 성찰 기회를 제공하고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연구 활성화를 위한 의미 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경남의 5⋅6학년군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과 ‘다양한 개인 변인(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발표불안, 국어과 학습동기, 국어수업몰입, 경청, 공감, 소통 예의, 또래 관계)’을 진단한다. 분석 방법은 ANOVA(일원분산 분석, 이원분산 분석)와 교차 분석을 활용하여, 초등학생 개인 변인에 따른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차이 및 연관성을 분석한다. 분석 도구는 엑셀과SPSS(ver 23.0)를 활용한다. 결과 초등학생 개인 변인별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차이 분석 결과, 전체 개인 변인(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발표불안, 국어과 학습동기, 국어수업몰입, 경청, 공감, 소통 예의, 또래 관계)에서 집단(상⋅중⋅하)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차이가드러났다. 또한 전체 개인 변인(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발표불안, 국어과 학습동기, 국어수업몰입, 경청, 공감, 소통 예의, 또래 관계)과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초등학생 개인 변인에 따른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차이 및 연관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언어생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관련 정보를 축적하였으며,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평가의 한 모델을 제시한 본 연구는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및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carry out an analysis of differences and associ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depending on the personal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way, the study aims at providing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tudy a meaningful chance to self-examine their language in daily life and thus draw out meaningful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he research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Methods The study diagnoses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and ‘various personal variables(self-efficacy, self-esteem, public speaking anxiety, motivation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academic engagemen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listening, empathizing, communication etiquette, peer relationships)’ with a focus on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Gyeongnam region. Analysis methods involve ANOVA(one-way and two-way ANOVA)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and associ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depending on the personal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nalysis tools were Excel and SPSS(ver 23.0). Results Upon analyzing differenc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by each personal variabl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between groups(advanced, intermediate, beginner) in terms of overall personal variables(self-efficacy, self-esteem, public speaking anxiety, motivation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academic engagemen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listening, empathizing, communication etiquette, peer relationships). Furthermore, the study confirm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overall personal variables(self-efficacy, self-esteem, public speaking anxiety, motivation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academic engagemen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listening, empathizing, communication etiquette, peer relationship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Conclusions The study analyzed differences and associations regar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depending on the personal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on this basis, drew out educational implications. Having provided students with a meaningful chance to self-examine their language in daily life, having accumulated information related to subject competencies, and having offered a model for subject competency assessment, the present study is capable of making contributions in terms of revitalizing education and research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초등학생 개인 변인에 따른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차이 및 연관성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3), 733-758

MLA

. "초등학생 개인 변인에 따른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차이 및 연관성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3(2022): 733-7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