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회귀교차지연효과 검증
이용수 319
- 영문명
- Verif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for Estimating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Matur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323~33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15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 대해 종단적 자료를 토대로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이 모형을 통해 종단적 자료의 상호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이용하였다. 이 모형은 인과관계를 확신하기 어려운 변수들에 대해 자기회귀효과와 교차지연효과를 검증해서 변수들 간의 이론적 관계를 좀 더 명확히 하는 방법이다. 대상은 부산지역 중⋅고등학생의 부산교육종단연구데이터(BELS)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2016년에서 2020년까지 5년간 매년 추적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남학생1,304명, 여학생 1,107명이며 총 2,411명이었다. 결과 첫째, 이전 시점의 학교적응과 진로성숙도는 이후 시점의 학교적응과 진로성숙도에 각각 지속적으로 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미치는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이전 시점의 진로성숙도는 이후 시점의 학교적응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청소년기의 학교적응에 대한 진로성숙도의 효과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이전 시점의 학교적응은 이후 시점의 진로성숙도에 지속적으로 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청소년기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학교적응의 효과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결론 학교적응이 진로성숙도에 정적인 방향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적극적인 학교적응력향상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학교적응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개입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maturity using the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based on longitudinal data. Through this, the mutual causal relationship of longitudinal data can be confirmed. Methods To this end, the autoregressive cross-delay model was used. This model is a method of further clarifying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verifying the autoregressive and cross-delay effects for variables that are difficult to be sure of causal relationships. The target was data tracked every year for five years from 2016 to 2020 for the first year of BELS Middle School in Busa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304 male students and 1,107 female students, with a total of 2,411 female students. Results First,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maturity at the previous point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nd career maturity at the later point in a static direction, respectively. Second, career maturity at the previous point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t the later poi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ce was not maintained over time. Third, school at the adjustment previous poin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areer maturity at the later point in a static direc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school adjustment on career maturity in adolescence remained stable over time. Conclusions The causal relationship was confirmed that school adjus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in a positive direction. Through this, the importance of actively improving school adjustment can be emphasized and used as basic data to help practical intervention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3호 목차
- 대한체육회 주관 선수진로지원사업 및 교육프로그램 문제점과 개선방안
- 초등학교 프로젝트 수업의 교사-학생 상호작용 특성 분석
- 정서적 지지와 그릿, 심리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열등감을 매개로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 공립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성 저해요인과 향상 방안
- 학생설계전공 제도 운영 현황 분석 및 학생 지원방안 연구
- 의사소통 공간으로서 유아 참여적 벽면 전시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탐색
- 코로나19 (COVID-19 pandemic) 상황의 간호학과 교수의 온라인 강의경험
-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생물 탐구 프로그램이 초등 과학영재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Q방법론을 활용한 대학생의 비대면 상담 인식에 대한 주관성 연구
- 중학생 그릿 요인구조와 발달적 변화에 대한 종단연구
- 학생선수 출신 직업상담사의 진로전환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초등학생 개인 변인에 따른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차이 및 연관성 분석
-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의 종단적 관계
- 신제도주의 관점을 적용한 교육정책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대한 수용전념치료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적용 및 효과검증
-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회귀교차지연효과 검증
- The moderating effect of research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xperience and graduate school satisfaction
- 간호학생의 직업가치관과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학교공동체의식, 또래관계, 사회⋅정서역량과 방어행동 간의 초⋅중등 다집단 메타경로분석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연구현황과 실천현황
- 플립러닝 인식과 교수실재감, 수업 참여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 외상경험 대학생의 사건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적응력 유형에 따른 가정환경 질의 차이
- 다층선형모형을 활용한 교사효능감 영향요인 분석
-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이버 비행 문제의식에 미치는 영향
- 플립드러닝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대학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반 심폐소생술 훈련에 관한 연구 동향
- 10대 및 20대 학습자의 성취목표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예측변인 탐색
- 온라인 수업에서 하브루타 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 인공지능과 과학 교과의 체계적인 융합을 위한 내용 체계 및 교수⋅학습 사례 연구
- 국내 인공지능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LDA 토픽모델링 기반 프랑스어교육 연구 동향 및 토픽 분석
-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유학생의 상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및 대학생활 적응 관련 변인 간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 이차곡선의 수학 내적 연결성 탐구에 관한 수업 사례 연구
- 초등학교 1학년 언어지도 실태 및 요구도에 따른 유⋅초 연계 언어지도 방안 탐색
- 한국어 시제 연구 동향 분석
-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 연구
-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의 순차적 매개로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예비수학교사의 비대면 수학체험전 운영 효과 분석
- 유아 교육기관의 교사 관련 평가지표의 내용 비교 분석
- 영아 부모를 위한 책 읽어주기 활동에 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학습자 참여중심 토의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플립러닝 체육수업 운영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
- 온라인교육의 편리성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의 관계
- 예비유아교사의 물질과 내부작용하는 놀이경험의 의미
- 간호대학생의 플립러닝 기반 협심증 환자 간호시뮬레이션 실습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실시간 비대면 교육훈련 참여자가 인식한 학습몰입, 주관적 학습성과, 전이효능감 및 전이의도의 관계
- 초등 전환기 아동의 행복감 변화 양상 분석
- 근거이론을 활용한 한국어 교사의 어휘 유창성 인식 조사
- 예비 중등교사 진로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 서비스러닝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 수능 영어 절대평가 세대 대학생들의 영어 능력 인식, 향상 추구 영역, 교양영어 만족도 및 향후 개편 방안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3호 표지
- [삭제] 원논
- [삭제] 원논1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