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의 종단적 관계

이용수 412

영문명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the Negative Self-Concepts, Career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Values of Young People Experiencing School-to-Work Transition Period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233~24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을 대상으로 직업결정과 선택에 영향을 주는 부정적 자기개념과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의 종단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청년노동시장 및 학교생활의 대표통계를 제공하는 청년패널 2007(YP2007)의 8차(2014)년도부터 12차(2018)년도까지 자료를 대상으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였다. 결과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은 이전의 대학생 시점이 이후의 직장인 시점에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또한 이전의 초기 직장인 시점이 2년 후 직장인 시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가치관에 비해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의 자기회귀계수가 낮게 나타나 부정적 자기개념이나 진로자기효능감의 변화가능성이 직업가치관보다 역동적임을 보여주었다. 둘째, 이전시점의 직업가치관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이후시점의 진로자기효능감은높아지고, 부정적 자기개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직업가치관이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삶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진로교육현장에서 직업가치관 교육이 선행되어야함을 확인하고 나아가 진로교육개선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to examine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the negative self-concepts, career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values of young people experiencing school-to-work transition periods that affect job decisions and choices. Methods For this,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utilized on data from the 8th (2014) to 12th (2018) Youth Panels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hich provides representative statistics on the youth labor market and school life. Result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negative self-concepts, career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values during the college period stably predicted those in the future during the working period and previous early working periods stably predicted working periods after two years. The autoregressive parameters of negative self-concepts and career self-efficacy appeared lower than those of occupational values, showing that the variability of negative self-concepts or career self-efficacy can be more dynamic than that of occupational values. Second, higher occupational values of previous points in time led to higher career self-efficacy and less negative self-concepts at later points in time, verifying that occupational values are an extremely important factor in the lives of young people experiencing school-to-work transition period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verifications were made that education on occupational values must be conducted at sites of career education and further, this provided implication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program management, the roles of universities, and counseling interv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의 종단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3), 233-247

MLA

.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의 종단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3(2022): 233-2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