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0대 및 20대 학습자의 성취목표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예측변인 탐색

이용수 181

영문명
Korean Teens and 20s’ Achievement Goal Profiles and Predicto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555~57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10대와 20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성별, 과목, 실패공포, 학업곤란도(이해와 분량), 공부에 대한 명시적⋅암묵적 당위적 사고, 긍정정서반응, 부정정서반응, 학업에 대한 명시적⋅암묵적 정서소진, 학업착수지연이 잠재집단 구분을 예측하는지 탐색하였다. 방법 연구참여자들은 온라인으로 참여한 10대 학습자 629명과 20대 학습자 864명이다. 성취목표지향성 검사결과를 통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고, 예측변수들의 잠재프로파일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그 결과 10대 학습자는 3개의, 20대 학습자는 5개의 잠재집단으로 구분되었고, 다중목표 상, 중상, 평균의 3개 집단이 동일하게 확인되었으며, 20대 학습자에게서는 다중목표 하와 숙달목표 유형이 추가로 확인되었다. 두 연령대 모두 다중목표 상에 실패공포와 학업효능감, 당위적 사고가, 학업에 대한 긍정정서가, 다중목표 중상에 학업효능감, 당위적 사고, 학업에 대한 긍정정서가 관련이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잠재집단의 연령대에 따라 차별적으로 작용하는 요인들도 발견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잠재집단 프로파일과 예측요인들을 이해하는 데 있어 학습자의 발달수준을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학업적적응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들을 다루어 프로파일과의 관련성을 탐색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업적응을 돕기 위해 필요한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classified potential profiles according to the level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argeting Korean learners in their teens and 20s, and investigated explicit and implicit should-thought, gender, subject, fear of failure, academic difficulty (comprehension and amount), an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reaction to to study, explicit and implicit emotional exhaustion about schoolwork,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o predict potential group classification.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629 teenagers and 864 students in their 20s who participated onlin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results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predictor variables on the latent profile. Results As a result, teen learners were divided into 3 potential groups and learners in their 20s into 5 potential groups, and the three groups of High All Goals, High-intermediate All Goals, and Average All Goals were identified in both age groups. Low All Goals and Mastery Goals were identified in 20s only. It was confirmed that fear of failure, academic efficacy, and should-thinking, and positive emotions to studying were related to High All Goals, and academic efficacy, should-thought, and positive emotions to studying were found to be related to High-intermediate All Goals. In addition, factors that act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age of the potential group were also found.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the learner's developmental level in understanding the latent group profile and predictive factors, and help the learner's academic adjustment by exploring the relevance of the profile by dealing with relevant variables that affect academic adjustmen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intervention necessary for this purpos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10대 및 20대 학습자의 성취목표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예측변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3), 555-574

MLA

. "10대 및 20대 학습자의 성취목표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예측변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3(2022): 555-5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