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교육기관의 교사 관련 평가지표의 내용 비교 분석

이용수 592

영문명
Comparison of teacher-related accreditation system in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Indicators in Korea, United States, Australia, and New Zealand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447~46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 교사와 관련한 내용들이 적절하게 평가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한국의 유치원 5주기 평가와 어린이집 평가제에 나타난 교사 관련 평가 내용을 살펴보고, 다른 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평가지표의 내용과 비교해 보았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의 제 5주기 유치원 평가지표와 어린이집 평가제의 지표, 미국의 NAEYC 평가지표, 호주의 ACECQA 평가지표, 뉴질랜드의 ERO 평가지표 중 교사 관련한 내용을 추출하고, 분석 기준에 따라 평가 내용을 코드화하여 항목별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는 첫째, 한국의 유치원 평가, 미국 NAEYC, 뉴질랜드의 ERO 평가는 한국의 어린이집 평가제, 호주의 ACECQA 평가에 비해서 더 많은 수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인사관리와 관련하여 다섯 개의 평가지표에서 항목 수가 가장많은 하위영역은 교사의 역할이며, 항목 수가 가장 적은 하위영역은 자격이다. 셋째, 교사의 인간관계와 관련하여 다섯 개의 평가지표에서 항목 수가 가장 많은 하위영역은 동료와의 관계이며, 항목 수가 가장 적은 하위영역은 부모와의 관계이다. 결론 분석을 통해 한국의 평가지표에 대한 시사점은 첫째, 한국의 두 가지 지표에서 공통적으로 학습자와 관계, 현직 교사 대상의교육 및 연수와 관련한 내용이 보완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둘째, 한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지표의 내용은 상호 보완되어야하며, 교육과정의 특성을 반영하여 통일성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평가지표 내용의 수정과 보완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eacher-related accreditation system in Korea's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o see if the contents related to teachers are properly evaluated, and compared them to those of accreditation system conducted in other countries. Methods To this end, from five accreditation systems, Korea's 5th Period Kindergarten accreditation system,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the NAEYC accreditation system in the United States, the ACECQA accreditation system in Australia, and the ERO accreditation system in New Zealand, teacher-related information was extracted, coded according to standard of analysis, and thereby the analysis of frequency was executed per item.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creditation of kindergartens in Korea, NAEYC in the United States, and ERO in New Zealand included a larger number of items compared to the accreditation system of daycare centers in Korea and ACECQA in Australia. Second, regarding the assessment of “Teacher management”, the role of the teacher is the sub-scale with the largest number among items in the five accreditation systems, while the qualification of the teacher is the sub-scale with the smallest nunmber among items in the five accreditation systems. Third, regarding the assessment of “Teacher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is the sub-scale with the largest number among items in the five accreditation systems, while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is the sub-scale with the smallest nunmber among items in the five accreditation systems. Conclusions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both of the accreditation systems in Korea should be supplemented to the contents on the relationship with learners and education and training of teachers. Also, it was proposed that the contents of the accreditation systems for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should be complemented each other, and that the accreditation systems need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parts requiring commona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유아 교육기관의 교사 관련 평가지표의 내용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3), 447-461

MLA

. "유아 교육기관의 교사 관련 평가지표의 내용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3(2022): 447-4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