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의 적응력 유형에 따른 가정환경 질의 차이

이용수 220

영문명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Adaptability of Childr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1~1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의 적응력을 군집분석하여 유형에 따라 가정환경의 질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9차년도(2016년)에 참여한 93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아동의 적응력에 대한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4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아동의 적응력 군집유형에 따라 가정환경의 질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ANOVA)과 사후검증(Scheffé)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아동의 적응력 유형은 ‘학교생활 적응’, ‘교사 의존적’, ‘교우관계 의존적’,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아동의적응력 유형에 따라 가정환경의 질인 심리적⋅물리적 가정환경과 부모-자녀 상호작용 간에 차이가 있는가 살펴본 결과, 가정환경이심리적⋅물리적으로 적극적으로 지원할 때, 아동이 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아동의 부적응 행동에 대한 예방과 가정-학교와의 연계를 통해 아동의 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적극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depending on the type by clustering the adaptability of childre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930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9th year(2016)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of KICCE(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o analyze the data, this study calculated frequency and percentage to determin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4 types were derived from cluster analysis to classify the type of adaptability of children.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post hoc test(Scheffé) were conducted to verify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a child's home environ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adaptability cluster of children. Results First, the types of adaptability of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school life adaptation’ ‘teacher-dependent’ ‘frienddependent’ and ‘school life maladjustment’. Second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as psychological⋅physical home environment and parent-child interaction, it was identified that home environment make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life when the home environment is actively provided psychologically and physically.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providing information that can suggest ways to actively help the school life adaptation of children by preventing maladaptive behavior of children and through the link between home and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아동의 적응력 유형에 따른 가정환경 질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3), 1-15

MLA

. "아동의 적응력 유형에 따른 가정환경 질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3(2022): 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