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층선형모형을 활용한 교사효능감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329

영문명
Multi-Leve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eacher Efficac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495~51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다층선형모형을 활용하여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요인과 학교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교육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 2014」 초등학교 자료에서 학교조사지(250개교), 교사용설문지(6,060명)에 대한 2수준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와 HLM 8.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 배경요인에서는 직위, 담임교사 여부, 성별, 학력, 경력은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배경요인에서는 기본적교육활동비 예산 비율이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과정요인에서는 학교교육 목표 반영 정도, 교내외 교육활동 연구모임 참여, 교육활동 연수참여 시간, 수업공개 횟수, 수업 및 수업준비 시간이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 과정요인에서는 동료교사에 대한 긍정적 인식, 교육활동 모임의활성화 정도, 동료교사와의 협력 정도, 동료와의 전문적 대화 정도는 교사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사참여에 대한 학교장의관심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해 학교에서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학교차원에서의 다양한 노력은 수업 개선 및 학교 변화를 이루는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of teachers and schools for teacher efficacy using the muti-level analysis method. Methods In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data from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School Education Status and Level Analysis Study 2014’ were used. A two-stage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on 250 school questionnaires and 6,060 teacher questionnaires in the data. Results First, In teacher background factors, it was found that position, homeroom teacher statu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career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Second, In school background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the budget for basic educational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Third, In teacher process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reflection of school education goal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internal and external learning group of education, and spending time in class for teaching, the number of open classes, and preparing time for teach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iency. Fourth, in the school process factors, positive perceptions of fellow teachers, the degree of meetings for educational activities, the degree of cooperation with fellow teachers, and the degree of professional conversation with colleague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ienc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principal's interest in teacher participation had a negative effect. Conclusions These research results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what efforts schools should make to improve teacher efficacy. Various efforts in schools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changes in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다층선형모형을 활용한 교사효능감 영향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3), 495-514

MLA

. "다층선형모형을 활용한 교사효능감 영향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3(2022): 495-5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