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moderating effect of research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xperience and graduate school satisfaction

이용수 162

영문명
교육경험과 대학원 만족도의 관계에서 연구효능감의 조절효과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3호, 701~71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15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원생의 교육경험과 대학원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연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1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대학원생 설문지에 응답한 19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PROCESS v4.0을 사용하여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고, 연구효능감 수준에따른 조건부효과를 탐색을 위하여 특정값 선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교육경험과 만족도 그리고 연구효능감 사이에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경험과 대학원만족도 사이에서 연구효능감은 정적인 조절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구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육경험이 대학원 만족도에미치는 영향은 더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연구효능감이 낮은 집단의 경우, 교육경험이 1단위 증가할 때마다 만족도가 0.45 증가하는것으로 나타났고, 연구효능감이 높은 집단의 경우, 교육경험이 1단위 증가할 때마다 만족도가 0.8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원생의 연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행적적⋅제도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교수 차원에서는 대학원생이 연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핵심적인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연구지도가 이루어져야 할것이며, 대학 차원에서는 연구 관련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교육과정 또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moderating role of research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duate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 and satisfaction with graduate school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11th year (2018)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and selected 197 valid respondents who answered questionnaires for graduate students. The data analysis methods ar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v4.0 was used in SPSS 26.0 to analyze the moderation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variables.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numerical changes in research self-efficacy, a specific value selection method was used to explore the subsequent conditional effects. Results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experience, satisfaction and research efficacy. Research self-efficacy plays a moderating role between educational experience and graduate students'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research self-efficacy value, the more significant the impact of educational experience on the overall satisfaction of graduate students. When the research self-efficacy is at a low level, the satisfaction increases by 0.45 units for each educational experience; when the research efficacy is at a high level, the satisfaction increases by 0.80 units for each educational experienc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graduate schools need to support graduate students administratively and systematically to improve their research self-efficacy. At the faculty level, research guidance should be provided to enable graduate students to develop the core competencies needed for conducting research. In addition, at the university level, they must provide courses and extra programs to enhance research skills. Moreover, at the university level, a curriculum or extracurricular program for research-related experiences should be provided in the futur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s
Ⅳ. Result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The moderating effect of research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xperience and graduate school satisfac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3), 701-714

MLA

. "The moderating effect of research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xperience and graduate school satisfac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3(2022): 701-7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