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이용수 765

영문명
Mediated effect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우주 조규판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2호, 649~66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사하구에 소재한 4년제 D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2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 외모만족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대인관계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세 단계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세 단계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한 후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심리적 안녕감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 역할을 한다. 셋째,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는 부분매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영향의 이론적인 모형을 설정하여 이들 변인 간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대학생들의 높은 주관적 안녕감을 실현하는데 긍정적이고 실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결론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외모자신감과 신체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뿐만 아니라 개인 내면에 작용하는 자아존중감과 나아가 긍정적 대인관계까지 형성할 수 있는 개입 방안이 마련되어야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이 생활 전반에서 심리적인 안녕감 및 행복감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 및 개입 방안을 연구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Methods Conducted a survey of 228 male and female students in D university located in Busan city and used data of 228 people for final analysis. The selected measures are Appearance satisfaction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self-esteem sca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cale. The data was analysed with SPSS Ver.28.0 in this study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Baron and Kenney(1886)’s three step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Third, Baron and Kenney (1886)’s three step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Fourth, Bootstrapping was performed after Sobel Test to verity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 is significant. Second, Self-esteem acts a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 Thir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ts a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model of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also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influence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is is for providing basic research data which actually and positively affects on fulfill subjective wellbeing by observation of mediating effects between variable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vention plan for self-esteem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uld be prepared along with intervention for improvement of confidence in appearance to strengthen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conclusion shows that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basis for research of intervention and overcoming methods to help college students to fee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appiness consistently in their everyday lif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우주,조규판. (2022).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2), 649-662

MLA

이우주,조규판.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2(2022): 649-6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