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방역의 일상화, 교사 내러티브를 통해 살펴본 학생의 사회정서 탐색

이용수 228

영문명
Dailyization of quarantine, teacher narrative Exploring students' social emotions through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신경희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2호, 909~93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코로나 이후, 교사 내러티브를 통해 학생의 사회정서 양상을 탐색하고, 사회자본의 창고로서 학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중요성을 논의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2021년 4월에서 5월, 방역체계를 강화한 학교생활 속에서 학생들의 사회정서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교사의 내러티브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유치⋅초⋅중⋅고 교사 온라인 좌담회 참석, 학교 방문을 통한 개별 교사 면담, 교사 수업연구 모임 참여, 서면 면담지 작성 등의 방법으로 교사 총 15명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결과 교실 안 일차적 관찰자인 교사를 통해 학생들의 사회정서와 학교생활에 대해 분석한 결과,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개념을 추출하고 연결하는 작업을 거쳐 총 5개의 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저학년, 특수아, 다문화 학생에게 더 필요한 돌봄 학교, 둘째, 방역과 통제의 그늘, 불신과 두려움, 셋째, 방역 프레임과 인식의 타율화, 그리고 비판교육, 넷째, 학교는 교과 학습 이외의 다양한 경험의 장, 다섯째, 교사가 인식하는 학생들의 학습격차, 학습 무기력, 학습 포기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코로나 19 상황에서 학생의 사회정서에 대해 탐색하였다. 결론 코로나 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와 방역, 안전을 위해 학교생활에도 다양한 통제가 가해지면서 학생들의 불안, 우울, 학습무기력, 학습포기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공동체로서의 학교의 가치, 학교 안 사회적 자본의 의미를 생각하고 일깨우는 일, 위기에 처했을 때 함께 해결해 나가는 연대 의식, 자유와 안전의 보완적 관계에 대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fter Corona, we explore changes in the aspects of students' social emotions through teacher narratives, and discuss the importance of the school's social function as a storehouse of social capital. Methods In this study, from March to May of 2021, the social emotions of students in schools with reinforced quarantine systems were examined through the teacher's narrative.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data through online meetings with kindergarten/elementary/middle/high school teachers, individual teacher interviews, attending teacher meetings, and writing paper interview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five themes were presented. First, a care school that is more needed for lower grades, special children, and multicultural students, second, the shadow of quarantine and control, mistrust and fear, third, heterogeneity of quarantine frames and perceptions, critical education, and fourth, schools offer a variety of experiences other than subject learning. Chapter, Fifth, the students' learning gap, learning helplessness, and abandonment of learning recognized by teachers were divided and analyzed.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sign a plan for various and exceptional situations ahead of the relative time given by the corona virus.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values of community and the meaning of social capital in schools, a sense of solidarity to solve problems together in times of crisis, and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freedom and safety.

목차

Ⅰ. 서론
Ⅱ. 사회자본의 공급처로서 학교에 대한 소고
Ⅲ. 연구 방법
Ⅳ. 방역의 일상화, 교사 내러티브를 통해 본 학생의 사회정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경희. (2022).방역의 일상화, 교사 내러티브를 통해 살펴본 학생의 사회정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12), 909-931

MLA

신경희. "방역의 일상화, 교사 내러티브를 통해 살펴본 학생의 사회정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2(2022): 909-9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